|
이재성 기자
|
절권도의 창시자이자 위대한 액션 배우였던 이소룡은 무술을 물에 비유하곤 했다. 그의 무술 철학은 상선약수(上善若水, 지극히 착한 것은 물과 같다)를 금과옥조로 삼았던 노자 사상과 맥이 닿아 있다. 미국 워싱턴주립대에서 철학을 배웠던 이소룡에 대해 “생각이 너무 많아 나약해진 무술인”이라고 평하는 이들도 있다. 무술(武術)의 무(武)는 문(文)의 상대 개념으로, 무력이나 무기 등 폭력의 의미로 쓰이지만, 한자를 풀어보면 창을 뜻하는 과(戈)와 그칠 지(止)가 합쳐져, 무기를 멈추게 한다는 뜻이다. 진정한 무는 폭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멈추게 하는 것이다. 이소룡의 절권도(截拳道)는 주먹을 멈추게 하는 무술이라는 뜻이다. 동양의 유토피아에 해당하는 무릉도원(武陵桃源)은 도연명의 <도화원기>에서 무릉에 살던 사람이 발견한 별천지였지만, ‘싸움이 그친 언덕과 복숭아꽃이 만발한 물의 근원’으로 해석하는 건 지나친 억측일까? 죄 있는 무리를 군대로 친다는 뜻의 정벌(征伐)은 정의로운 다수(두인 변+正)가 창을 든 소수(사람인 변+戈)를 힘으로 굴복시킨다는 의미다. 오사마 빈라덴과 탈레반을 ‘정벌’하겠다며 미국이 시작한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올해로 10년째다. 그러나 이 전쟁이 ‘정벌’이라는 데 동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가 주연한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영화 <아이언 맨>이 적확하게 묘사했듯이, 아프가니스탄 전쟁은 미국 군수산업 자본에 합법적으로 돈을 갖다바치기 위한 알리바이일 뿐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다. 아프가니스탄은 ‘21세기의 베트남’이 된 지 오래다. 아프가니스탄에 국군을 보내는 파병 동의안이 오늘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탈레반은 “다시는 파병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어기는 것”이라며 벌써부터 경고하고 있다. 폭력은 또다른 폭력을 부른다. 이재성 기자 sa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