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0.06 19:24 수정 : 2011.10.06 19:24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무상급식이 가장 뜨거운 쟁점이다. 전임 시장 오세훈씨가 남긴 프레임에 따른 부질없는 시비다. 다음 세대를 좋은 먹거리로 튼튼하게 키우자는데 부모의 빈부가 왜 문제인가. 내남없이 아이들은 노동과 세금, 병역으로써 나라를 짊어질 재목이 아닌가.

시끄러운 서울과 달리 원주시에서는 먹거리 혁명이 조용히 진행중이다. 그 중심은 흥업면 옛 대안초등학교 자리에 들어설 원주푸드종합센터다. 2013년에 완공되는 이곳에서는 원주에서 생산된 친환경 농식품의 전처리, 가공, 유통, 교육, 인증사업 등을 담당하게 된다. 단적으로 말해 친환경 농산물로 만든 점심 식재료를 관내 유치원과 초등학교에 공급하고 나머지는 도시민한테 공급한다. 종국엔 가격에 민감한 업체들과 이들이 제공하는 값싼 식자재는 사라진다. 2009년 12월 전국 최초로 제정된 ‘원주푸드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가 단초다.

문제는 그만큼의 친환경 로컬푸드가 생산되지 않고 있다는 것. 관내 농민들은 여느 지역과 마찬가지로 환금성 작물에 치중하는 탓에 쌀 외의 먹거리는 대부분 타지역에서 들여오고 있는 실정이다. 한 통계를 보면 농협마트에서 판매되는 농산물의 95%가 외지 반입물이다. 이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시는 2014년까지 150억원을 들여 로컬푸드 관리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급식에 필요한 농산물 비율에 맞춰 계획재배를 하고 농민들한테는 친환경 농법으로 전환하도록 유도·교육한다는 것이다.

‘원주푸드’ 시스템이 정착되면 원주의 아이들은 제대로 된 학교급식을 먹게 되고 원주의 농민들은 안정적인 판로가 확보된다. 푸드마일리지가 낮아지면서 땅과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지역공동체도 튼실하게 된다.

서울시의 소모적인 급식논쟁은 친환경 농업의 부활, 경기도와의 협력체제 구축 등 생산적 논의로 바뀌어야 한다. 임종업 선임기자 blitz@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