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6.06 19:24 수정 : 2012.06.06 19:24

몽골은 국경이 중국과 러시아로 둘러싸인 ‘육지 섬’ 나라다. 더구나 국경을 맞대고 있는 두 나라 모두 몽골보다 국력이 압도적으로 세다. 몽골로선 자칫 두 나라 사이에서 균형을 잃으면 한쪽에 흡수될 수밖에 없는 운명에 놓여 있는 셈이다. 또 광물자원과 축산품이 풍부하지만, 수출을 하려면 값비싼 항공기를 이용하거나 중국과 러시아의 육로를 거치는 수밖에 없다. 이런 지정학적 불리함을 타개하기 위해 나온 몽골의 외교정책이 바로 ‘제3의 이웃’ 정책이다. 제3의 이웃을 만들어 중국과 러시아의 영향력을 완화하고 견제하자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미국, 일본, 유럽, 캐나다와 함께 몽골 정부가 주요 목표로 삼고 있는 제3의 이웃 나라들에 꼽힌다. 물론 몽골이 가장 중시하는 나라는 군사적으로 중국과 러시아를 제압할 수 있는 미국이지만,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동시에 이룩한 우리나라에 대한 구애도 남다르다. 한-몽 두 나라 사이엔 인종·언어·문화적 친근감이 있는데다 최근 들어 인적·물적 교류도 매우 활발하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엔 현재 3만명 가까운 몽골 사람들이 살고 있는데, 이는 몽골 밖 나라 중 가장 많은 수다. 몽골은 전통적으로 북한과 가깝고 북한 노동자들도 많이 받아들이고 있어, 남북 간 정치·경제 교류·협력의 활로를 찾는 마당이 될 수도 있다.

지난달 23일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정재정)과 몽골 과학아카데미의 공동 주최로 열린 ‘2012 한-몽 협력 포럼’에선 양쪽 발제자들로부터 몽골인들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차별대우와 단기 이익 추구가 양국 관계 발전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공통으로 나왔다. 이러다간 머지않아 우리나라 이름이 몽골의 제3의 이웃 명단에서 빠질 날이 올는지도 모른다.

오태규 논설위원, 트위터·페이스북 @ohtak5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