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8.05.23 18:55 수정 : 2018.05.23 19:55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존 볼턴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국가안전보장회의)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소련과의 냉전이 시작되던 1947년 안보·군사·외교 문제를 조율하기 위해 국가안보법에 따라 만들어졌다. 국무부뿐 아니라 각 부처와 군, 정보기관의 정보를 모아 대통령 판단을 도울 수 있는 상시적 기구가 필요하다며 의회가 법안을 통과시켜줬다.

국가안보보좌관(National Security Advisor) 자리는 1953년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대통령 때 신설됐다. 장관급 회의를 주재하고, 온갖 정보를 받아보면서 대통령과 수시로 의견을 나누며 미국의 대외정책을 좌우하는 막강한 자리다. 리처드 닉슨, 제럴드 포드 대통령 시절 국가안보보좌관(1969~1975년)을 지낸 헨리 키신저가 대표적이다. 1971년 중국을 비밀 방문해 미-중 데탕트를 열었던 그는 1973년부터 2년간은 국가안보보좌관과 국무장관을 겸하기도 했다. 국가안보보좌관이 부도덕한 비밀작전에 개입해 물러나는 일도 있었다.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때 이란-콘트라 사건으로 두 명의 국가안보보좌관(로버트 맥팔레인, 존 포인덱스터)이 연거푸 사임했다.

국가안보보좌관은 의회 청문회를 거친 외교 수장 국무장관과 ‘누가 더 세냐’는 논쟁을 낳기도 한다. 외교·경제 컨설팅기업 로스코프 그룹의 시이오인 데이비드 로스코프는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첫번째 임기 때 대외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은 국무장관(콜린 파월)도 국가안보보좌관(콘돌리자 라이스)도 아닌 딕 체니 부통령이었다”며 “대통령과의 관계에 달렸다”고 말한다.

1994년의 북-미 제네바 합의를 파기(2002년)하는 데 주역이었던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리비아 모델’로 북한을 자극해 북-미 정상회담 가는 길에 ‘존재감’을 과시했다. 볼턴이 그 지위와 영향력을 유지할지 또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마음에 달렸다.

황준범 국제뉴스팀 기자 jaybe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유레카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