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마지막 순간을 곁에서 지켜봤던 박지원 의원은 “굉장히 침작하신 이희호 여사가 병원에서 갑자기 뜨개질을 하시는 걸 보고, 여사님도 이제 대통령 서거를 준비하시는구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
[한겨레가 만난 사람]
병세 위중함에도 “곧 일어나실 것” 얘기
정부와 큰갈등 없었지만 ‘노제’ 놓고 이견
7월13일 김대중 전 대통령이 병원에 입원했을 때부터 8월23일 영결식을 치를 때까지 42일간, 김 전 대통령에 관한 모든 일을 도맡아 한 사람은 박지원(67) 민주당 의원이었다. 대통령 재임 시절엔 청와대 비서실장을 지냈고, 퇴임 뒤엔 동교동 비서실장 구실을 했던 그는 ‘디제이의 영원한 비서실장’으로 불린다. 그의 행동에 질시 어린 시선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가 언제나 김 전 대통령의 뜻을 정확하게 수행해 왔다는 걸 부인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27일 오전, 박 의원을 만났다. 한달 넘게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해 피곤한 모습이었지만 말은 흐트러짐이 없었다. 그는 “병원에 입원하셔서 서거하실 때까지 40여일을 불안과 추모, 거짓말 속에서 보냈다”고 입을 뗐다. ‘거짓말’이란 김 전 대통령의 병세가 위중함에도 언론엔 “곧 일어나실 것”이라고 얘기한 걸 두고 한 말이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 처음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실 때는 단순한 폐렴 정도로 알려졌다가 갈수록 상황이 악화됐습니다.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하실지도 모른다는 느낌을 언제 처음 받으셨습니까?
“워낙 의지가 강한 분이라 이번에도 훌훌 털고 일어나실 것을 굳게 믿었지만, 세브란스병원 의료진의 얘기를 들어보니 (회복이) 어렵겠다는 걸 돌아가시기 5일 전(13일)께 느꼈습니다. 그래서 사흘 전(15일) 비서관 3명과 대책을 논의했고, 이를 홍업씨와 권노갑·한화갑·한광옥·김옥두 네 분께 말씀드렵습니다. 김 전 대통령의 병세를 정확히 국민에게 알리지 않은 건, 만약 위독하시다는 게 알려지면 수많은 시민들이 마지막 모습을 뵈러 병원으로 몰려올 텐데 그걸 병원이 견딜 수 있겠는가 하는 생각에서였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그때 시민들이 쾌유 집회라도 병원에서 했으면 혹시 쾌차하시지는 않았을까 하는 후회도 듭니다.”
-처음 입원하실 때는 돌아가시리란 예상을 전혀 못하신 거 같네요.
“못했죠. 과거에도 입원했다가 나오셨고, 원체 건강에 유념하고 가벼운 운동이나 주치의로부터 받은 주의사항을 철저히 지킨 어른이라…. 저는 김 전 대통령 서거와 관련해 5가지 목표를 세웠습니다. 민주화와 남북화해에 공이 크신 분이니 장례식은 국장으로 한다, 묘지는 동작동 국립현충원으로 한다, 빈소는 의회주의자이신 고인의 뜻을 기려 국회로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또 세계적인 추모가 있을 것이고, 북한에서도 고위 특사조문단이 올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국립서울현충원 안장은, 생전에 여사님(이희호씨)과 차를 타고 가시다가 국립현충원을 보고는 ‘저기가 우리가 묻힐 곳’이라고 말씀하셨다고 합니다. 그래서 국립대전현충원에 국가원수 묘역이 새로 마련되긴 했지만, 굳이 그곳(국립서울현충원)으로 정했습니다.
정부와의 협의 과정에서 국장이냐 국민장이냐를 놓고 밖에서 보듯이 큰 갈등은 없었습니다. 다만, 이달곤 행정안전부 장관이 ‘국장을 치르면 장례식날을 임시 공휴일로 해야 하니 경제적 문제가 걸려 있다’고 난색을 표했고, 그러나 이희호 여사가 ‘그럼 6일장으로 하라’고 말씀하셔서 일요일에 영결식을 치렀습니다. 물론 장례 문제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아주 없었던 것은 아닙니다.”
-어떤 충돌이 있었습니까?
“우리는 장례식 때 운구 행렬이 대통령과 인연이 있는 곳에 꼭 가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민주당사를 경유하고 사저에 들러 구석구석 방도 가보시고 김대중도서관도 들르기로 했습니다. 또 청와대에서 5년 근무하셨으니 청와대 분수대도 갔다가 민주화투쟁의 기억이 어린 서울광장·서울역을 지나 동작동 묘소를 가자고 했습니다. 그런데 정부에선 ‘혹시 불상사가 있을지 모른다’며 청와대 분수대에 들르는 걸 상당히 염려했습니다.”
-어떤 불상사를 말하는 건가요?
“여러 가지가 있겠는데 다 말씀드릴 순 없구요, 아무튼 우리가 ‘김대중 전 대통령 지지하는 추모객들은 절대 질서를 어기지 않는다고 이희호 여사가 이미 말씀하셨다, 염려하지 말아라’고 계속 설득했는데도 난색을 표했습니다. 그러자 이희호 여사와 홍업씨가 청와대가 어려우면 곧바로 서울광장으로 가자고 결정했습니다. 또 민주당은 ‘노제는 하지 않더라도 추모문화제는 서울광장에서 해야 하지 않느냐, 이를 국장 행사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했는데, 정부는 ‘노제나 추모문화제는 인정하지 않겠다’고 나왔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왜 김대중을 못 믿느냐. 왜 민주당을 못 믿느냐. 당신들이 이렇게 우리를 불신한다면 국장 반납하고 유족장 하겠다’고 맞서 고성이 오갔습니다. 결국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이희호 여사가 검소함과 질서를 강조하셨다고 하니 민주당 자체적으로 아주 조용하게 문화제를 치르겠다’고 양보하는 것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북 조문단 방문 첫날 “다 만나겠다” 밝혀민감한 일기내용 공개는 이희호씨가 결정
|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
인터뷰/박찬수 부국장 pcs@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