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라 경제] 김광수경제연구소의 진단&전망
올초만 해도 인플레 억제 주력…지금은 ‘8% 성장’ 총력전금리인하·대규모 경기부양책 내놔…IMF ‘5% 성장’ 전망 글로벌 경제위기와 급속한 국내 경기 하강에 직면한 중국 정부가 내년도 경제성장률 8% 유지를 천명한 가운데 경제정책 기조를 급격히 수정하고 있다. 2008년 중국 경제의 애초 목표는 ‘인플레 억제, 경기과열 억제’였으며 이를 위해 긴축통화정책을 실시했다. 막대한 무역수지 흑자와 자산시장의 과열이 지속되고, 베이징 올림픽 개최에 대한 기대심리와 국제 유가 및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물가상승 압력도 커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 남부지역의 폭설 재해와 쓰촨성 대지진의 피해를 복구하려고 중국 정부는 하반기 경제정책 기조를 다시 ‘성장유지, 인플레 억제’로 변경하였다. 즉 재정확대-통화 긴축 정책으로 정책 방향을 바꾼 것이다. 그런데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8%를 웃돌던 물가상승률이 4%까지 떨어지기 시작했다. 또 올 3분기 경제성장률이 9%까지 떨어지고 4분기에는 7%대로 급감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중국 정부는 이달 8일부터 3일간 열린 중앙경제업무회의에서 2009년도 경제정책 목표를 ‘성장유지, 내수확대’로 바꿔 재정확대-통화확대 기조로 다시 바꿨다. 이번 중앙경제업무회의에서는 성장유지-내수확대 경제정책 방향과 함께 경제성장 전략의 수정을 의미하는 ‘구조조정’도 거론되었다. 글로벌 경제위기로 흔들리는 중국 경제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수확대 중심의 성장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노동집약적이고 단순 조립가공 위주의 수출중심 산업구조에서 내수 위주의 산업으로 구조조정을 하고 핵심기업들을 집중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기조에 따라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9월 이후 4차례에 걸쳐 금리를 내렸다. 특히 11월에는 1997년 10월 이래 가장 큰 폭으로 금리를 낮췄다. 경기부양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11월에 2010년까지 사회 인프라 건설사업을 중심으로 4조위안에 이르는 대규모 경기부양책을 발표하였다. 임대주택 건설사업과 사회기반시설 확충, 산업구조조정 및 증치세(부가가치세) 감면, 시중은행의 대출 확대 등 10대 경기부양 대책을 통해 내수경기를 활성화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경기침체를 겪고 있는 실물 산업 분야에 대한 직접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국책은행인 수출입은행이 중국 자동차산업의 자존심인 체리(Chery, 奇瑞)에 대해 수출 및 국외 현지생산 확대를 위해 100억위안을 융자해주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에프에이더블유(FAW), 둥펑, 창청 등 주요 자동차업체들 역시 일제히 수출 목표량을 낮춰 발표하고 있어 이들에게도 보조금이 지원될 것으로 보인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