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8.10.17 15:55
수정 : 2008.10.20 16:06
|
한홍구 성공회대 교양학부 교수
|
[한홍구 교수의 ‘대한민국사 특강’] ① 뉴라이트와 ‘건국절’ 논란
탄핵뒤 위기의식 느낀 수구 집결…대안 제시없이 정치적 행동만
<한국근·현대사> 교과서를 놓고 또 다시 이념논쟁이 불붙고 있습니다. 최근 교육과학부, 국방부, 통일부 등이 “역사 교과서가 좌향좌돼 있다”며 잇따라 교과서 수정 의견을 냈고, 한나라당 등 정치권도 이에 동조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사연구회와 한국역사교육학회 등 관련 학회와 일선 교사들은 “역사는 권력의 시녀가 아니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렇게 한국 근·현대사를 놓고 논란이 뜨거운 가운데 역사학자인 한홍구 성공회대 교수가 <한겨레> 독자들을 대상으로 ‘대한민국사 특강’을 시작합니다. 해방 후 한국 현대사가 전공인 한 교수는 지난 13일부터 <한겨레문화센터>에서 매주 월요일 특강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겨레출판>에서 강의록과 녹취록을 정리해 영상과 함께 매주 금요일 오후 독자들을 찾아갑니다. 한홍구의 대한민국사 특강을 1회 ‘역사의 내전: 뉴라이트와 건국절 논란’을 시작으로 모두 8차례에 걸쳐 연재할 예정입니다.<편집자주>
|
■ 한홍구 교수의 ‘대한민국사 특강’ 순서
1. 역사의 내전: 뉴라이트와 ‘건국절’ 논란 2. 돌아온 간첩, 그 황당함에 대하여 3. 대한민국은 공사 중: 토목 국가와 ‘경제성장’ 4. 헌법정신과 민영화 -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묻는다 5. 괴담의 사회사 - 여고괴담에서 광우병 괴담, 독도괴담까지 6. 경찰폭력의 역사 - 일본 순사에서 백골단 부활까지 7. 경쟁 만능의 비극 - 잃어버린 교육을 찾아서 8. 촛불과 민주주의
|
|
|
첫 번째 강의는 역사 왜곡을 시도하고 있는 뉴라이트의 등장과 그들의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뉴라이트는 2004년 갑자기 등장해서 언론의 각광을 받았다. 그들은 한국판 ‘새역모’를 만들었으며, 지난 광복절 때는 건국절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뉴라이트 이전의 올드 라이트는 어떠했는지, 한국 역사에서 자유주의가 가능했는지와 실제 자유주의가 어떠했는지 등을 짚어본다.
해방 이전에는 제국주의의 침략에 의한 근대화로 자유주의 집단과 세력이 없었다. 제국주의의 침략에 의한 근대화이므로, 반제민족해방운동 내에 반근대(또는 前근대)의 정서가 강하게 잔존할 수밖에 없었다. 또한 고도로 발달한 자본주의로서의 제국주의가 있었으며, 민족해방운동은 전반적인 반자본주의적 정서를 가지고 있었다. 전쟁이 일어나면서 일제가 총동원해 천황이 어버이가 되는 최악의 국가주의가 되고 말았고, 개인주의와 자유주의는 발달하지 못했다. 또한 일제의 전쟁 수행을 위한 강제동원과 협력은 존경받을 만한 우파를 거의 소멸시키고 만다.
해방 이전에는 건전한 자유주의가 자랄 토양이 없었다. 해방 후 일본의 파시즘적 지배에서 벗어나 미군의 지배로 이행되었고,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유주의가 이식될 기회가 생겼다. 그러나 남북이 갈린 상태였고, 미국과 소련이 취한 정책이 각각 달랐다. 그러면서 권력 투쟁이 격화되고, 왜곡되었으며, 남쪽에서 건전한 보수세력이 아닌 친일파가 득세하게 되었다. 전쟁 중에 민간인 학살이 일어나고, 서로의 보복 학살로 이어진다. 실제 좌익활동자는 물론이고, 부역자 등 민간인 30만 명 넘게 학살 처벌된다.
[한홍구의 역사특강 ①] 뉴라이트와 ‘건국절’ 논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