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세기 한국대학생연합 소속 전국대학 총학생회장과 학생들이 1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청와대들머리인 청운효자동 주민센터 앞에서 ‘이명박대통령 반값등록금이행촉구, 2009 등록금 인하‘ 전국대학생대표자 농성 선포를 하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민생뉴딜] 서민경제 살리기 긴급제안
⑤ 등록금 덧에 걸린 학생
등록금 상한제 → 물가상승률·평균소득 고려
소득 연계 후불제 → 능력될 때 대출 갚도록
등록금 차등 정책 → 소득 분위별 액수 다르게
‘대안은 상한제와 후불제다!’
정부의 등록금 대책은 저소득층 장학금 지원과 학자금 대출이 중심이었다. 이 기조는 현정부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들 대책은 미봉책일 뿐, 근본 대안은 등록금 상한제와 소득 연계 후불제라고 입을 모은다. 등록금 인상을 제한하고, 대출받은 학자금 상환을 경제적 능력이 생길 때까지 유예해 주자는 제안이다.
■ 신용불량자 키우는 정부 대책
대다수 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등록금 관련 정부 대책은 ‘정부 보증 학자금 대출’이다. 지난 2005년 하반기부터 시행했다. 정부가 보증을 서고 민간 재원에서 대출금을 마련하는 형태다. 정부는 “이자만 내는 거치기간은 최대 10년이고, 그 뒤 최장 10년에 걸쳐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으면 된다”고 홍보한다.
하지만 실제 운용은 딴판이다. 거치기간 10년은 군 미필자인 1학년 남학생의 경우에만 해당된다. 군 입대 기간이 없는 여학생은 최대 7년까지다. 거치기간이 지나면 구직 여부와 상관없이 원금과 이자를 동시에 갚아야 한다. 가장 큰 문제는 이자다. ‘돈을 빌리는 순간’부터 이자가 생기며, 이자율도 높다. 이 대출 이자율은 2005년 2학기 6.95%로 시작해 올 2학기에는 7.8%까지 올랐다. 중소기업 창업기금 등 정부가 시행하는 다른 대출제도 금리는 주로 3~4.5% 수준이다. 거의 갑절에 이른다. 황희란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고정금리가 아니라 시중 금리와 연동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자 납부를 미룰 수도 없다. 군에 입대했을 때도 꼬박꼬박 이자를 내야 한다. 연체로 신용불량자를 낼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이상민 자유선진당 의원이 지난 10월 발표한 자료를 보면, 학자금 대출로 생긴 신용불량자는 2006년 670명에서 2007년 3726명, 2008년 7454명으로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
9
|
▶일제고사 거부 장수중 김인봉 교장 “반대 포용못하는 현정부 유신시대 있는듯”
▶“조중동 방송·재벌방송 안된다” 불길 확산
▶등록금 빚에 도우미라도…졸업 전부터 ‘신불자’
▶루비니 교수 “한국, 금융위기 문턱”
▶‘대운하 양심선언’ 김이태 연구원 끝내 ‘3개월 정직’
▶광복회 “임정 무시 책자 회수안하면 강력대응”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