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계훈 단국대 대중문화예술 대학원 주임교수
|
문화칼럼
경복궁 옆 옛 기무사령부 터에 2012년 국립 현대미술관 분관이 들어설 것 같다. 올해 초 문화체육관광부가 대통령까지 초청하여 미술을 포함한 문화예술계 인사들과 함께 이러한 계획을 발표하는 형식으로 신년 하례식을 진행하였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국립미술관이 뚜렷한 이유 없이 서울의 중심에서 상당히 멀리 벗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반복되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 계획은 환영할 만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인지 미술 관련 단체와 미술계 인사들은 한목소리로 이 계획을 환영하고 있다. 하지만 좀더 깊이 생각해 보면 마냥 환영만 하고 있을 일도 아니다. 시내 한복판에 국립 현대미술관의 분관을 세운다고 모든 문제점들이 저절로 풀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국립 현대미술관이 제구실을 못한다고 지적받아 온 까닭이 그 위치 때문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미술관에서 일하는 큐레이터들의 전문성이 뚜렷하게 드러나지 못하였고, 소장품 구입이나 중요 사업을 위한 재정적인 뒷받침도 충분하였다고 할 수는 없었다. 게다가 경직된 관료적인 운영과 잦은 관장의 교체에 의한 장기적 비전의 부재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오늘날의 국립 현대미술관의 침체를 불렀다고 보아야 한다. 게다가 현재 행정안전부 주도 아래 국립 현대미술관의 민영화가 진행 중이어서 국립 현대미술관 기무사 터 분관의 설립은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가 아닐 수도 있다. 미술관 분관 설립의 추진 과정도 그리 바람직한 모습은 아니었다. 분관 설립 사업은 이 사업의 당사자인 현대미술관과 문화부가 주축이 되어서 진행되어야 할 일이었지만 정작 우리에게 비친 모습은 외부 인사들의 추진위원회 구성과 서명 작업 등으로 이어졌고 마치 미술관 내부에서 추진하지 못하는 일을 외부 인사들의 힘에 의존하여 이런 결정을 이끌어낸 것 같이 이야기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 미술계를 염려하는 마음으로 외부 인사들이 분관 설립을 추진하는 활동을 옆에서 지원할 수는 있다. 그러나 그 정도가 지나치면 볼썽사납기도 하고 마치 우리나라 문화예술 분야의 공공행정이 무기력하여 대안적인 조직의 작용이 필요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이제 대통령이 직접 기무사 터를 현대미술관 분관으로 활용하겠다고 공언한 만큼 이제는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 각자의 역할 범위 안에서 진정으로 현대미술관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 자신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가를 생각해야 할 때다. 현대미술관의 내부 전문인력을 중심으로 차분하게, 그리고 단기간의 과시적인 성과에 연연하여 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차곡차곡 분관 설립 준비를 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모든 일이 그렇겠지만 우리나라에서 현대미술관을 운영한다는 의미가 무엇인지, 이제 도심 한가운데 현대미술관의 분관이 하나 더 추가된다면 그 공간의 역할은 무엇인지, 어떠한 운영체계가 세워져야 가장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등등 국립 현대미술관의 기무사 터 분관 설립 사업은 사실은 이제부터 어려운 숙제를 시작하는 셈인 것이다.하계훈 단국대 대중문화예술 대학원 주임교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