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당도 가는 길에 만난 할머니들, 생선을 구워 드시니 추위에도 즐겁다. (강제윤 제공)
|
[매거진 esc] ‘무덤덤한’ 강제윤 섬에서 웃다
시산도(詩山島)는 고흥의 섬이다. 뱃길로 한시간 거리에 불과하지만 하루 한번밖에 배가 다니지 않는 낙도다. 섬은 산이다. 첩첩의 산. 본래 시산도는 시산(示山), 시산(矢山), 시산(詩山)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일제 때 시산(矢山)으로 굳어졌다가, 한 출향인의 제안으로 1995년 군의회의 의결을 거쳐 시산(詩山)이란 시적인 이름을 갖게 되었다. 아름답고 고마운 일이다. 시산도의 밤, 마을 안길을 걷는다. 골목을 오르는데 할머니 한분이 마실을 가는 중이다. “안녕하세요. 할머니.” “누구시더라.” “여행 온 사람입니다.” “나는 친구 집 간다우.” “좋으시겠어요.” “아저씨는 친구 없지? 나는 많은데.” 어찌 아셨을까. 혼자 이 먼 섬까지 찾아와 밤길을 헤매는 나그네의 외로운 심사를. 할머니는 친구 집을 찾아가고 나는 다시 밤길을 걷는다. 그런데 교회 아래 어떤 집 지붕이 시선을 붙든다. 그림인지 글자인지 뭔가 그려져 있다. 좀더 다가가 보니 글자다. 나도 모르게 웃음이 터져 나온다. ‘웃자 웃자’ 네 글자가 지붕 가득 쓰여 있다. 심사 외로운 나그네도 웃게 만들었으니 집주인의 의도는 성공이다. 저것이야말로 시 아닌가. 시(詩)가 쌓인 산. 시산도에 와서야 나그네는 비로소 진짜 시를 얻었다. 지붕을 공책 삼아 쓴 시 한편. “웃자 웃자!!”
|
시산도 어느 집 지붕에서 만난 시 한편 ‘웃자 웃자’. (강제윤 제공)
|
노인당을 찾은 노인들은 모두가 할머니들. 그중 열에 아홉은 영감이 먼저 세상 뜬 지 오래다. 늙어 철이 드는가 싶더니 훌쩍 이승을 떠나버린 영감이 야속타. “여자들은 철들면 시집가는디, 사내놈들은 철들면 죽어뿌러.” 응달짝 할머니가 말씀을 받는다. “그러게 말이요잉. 우리 영감도 그렇게 철이 없어서, 고생도 고생도 징하게 시키쌓더니 이놈의 영감탱구가 늘그막에 이제 좀 철이 드나 싶으니 덜컥 죽어버립디다.” “우리 영감도 그럽디다.” “사내놈들은 철들면 죽는단 말이 딱 맞어라우.” 노인당 할머니들 맘이 다 같다. 죽을 때가 돼야 겨우 철드는 사내들. “원수 같은 영감탱이들. 사재 넋이 같은 영감탱구들.” 겨울 노인당, 영감님들 앞서 보내고 생의 마지막 휴가를 즐기는 할머니들 얼굴이 모처럼 환하다. 완도 금일도에서 금당도행 배를 탔다. 선실 풍경 사진을 찍고 있는데 어르신 한분이 말을 걸어온다. “그거이 돼지털이오?” “예, 디지털카메랍니다.” “내가 본래 사진을 많이 찍는디, 아직도 나는 옛날 카메라를 쓴단 말이시. 한대 장만해야 쓰것는디.” “풍경 사진 많이 찍으시나 봐요.” “그람, 내가 이 완도 일대 섬들 땅을 다 거래하는 부동산을 한단 말이시. 그라니 땅을 봬 줄라면 사진을 찍어야제. 근디 어디서 왔소.” “인천이요.” “요새 인천 사람들이 여그 땅을 많이 산단 말이시. 인천 주안 사람 하나도 경치 좋은 곳을 알아봐 달라고 해서 내 지금 생일도에 안 갔다 오요.” 이 남해의 섬들도 진즉부터 도시 사람들의 부동산 투기 대상이 된 지 오래다. 하지만 실제로 별장이나 노후에 살 집을 지으려는 사람도 더러 있다. 이 어르신이 다녀온 생일도에서 있었던 일이다. 서울의 어느 중학교 교장 선생이 생일도에 땅을 조금 사뒀다. 정년퇴임 뒤 별장을 지을 계획이었다. 마침내 퇴직을 한 교장 선생, 생일도를 찾았다. 자기 땅이긴 하지만 부동산을 통해 소개받았을 뿐 직접 본 적은 없었다. 잔뜩 기대에 부풀어 땅을 찾아간 교장 선생, 기겁을 하고 말았다.
|
‘무덤덤한’ 강제윤 섬에서 웃다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