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사회 미래를 말하다
|
[창간 22돌 기획 대논쟁] 한국사회 미래를 말하다 | ④ 보수의 복지
박근혜 ‘복지’ 주창 왜
“아버지의 꿈은 최종적으로 복지국가였다. 여전히 이루지 못한 우리의 궁극적 꿈은 복지국가 건설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지난해 10월 처음 공개적인 자리에서 복지국가를 언급했다. 아버지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서거 30주기 행사 자리에서였다. 같은 해 9월엔 자신의 싸이월드 미니홈피에서 “경제성장과 더불어 환경, 복지가 중요하다. 소외되는 사람들 없이 모두가 행복하게 사는 것이 진정한 선진국가의 모습”이라고 썼다. 지난해 5월 미국 스탠퍼드대학에서 한 연설에서도 그는 “경제에서 민간부분은 이익극대화에 치우쳐 사회공동선을 경시했고, 정부 역시 소외계층에 대한 배려가 미흡했다”고 복지국가론의 일단을 내비쳤다.
■ 박근혜 복지는 ‘지속가능한 복지’ 박 전 대표의 복지는 ‘지속가능한 복지’로 압축할 수 있다. 한 측근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생각하는 복지는 무조건적인 복지가 아니다”라며 “성장과 복지가 선순환하는 복지 시스템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는 그 해법으로 인적자원 개발을 생각하고 있다.
한 측근은 “사회적 약자를 자활할 수준까지 복지제도가 뒷받침해주고 이후 이들이 생산활동을 하게 되면 국가재정부담도 덜게 될 것이라고 구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를 투자의 개념으로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장애인이나 탈북자 등 사회경제적인 소외계층들에게 수당이나 연금 정도를 지원하는 데 그치는 복지는 안 된다. 이들이 자리를 잡고 사회에 기여하면서 소득을 창출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정된 국가재정으로 항구적인 복지체계를 유지하려면 복지 예산이 결국 국가의 부를 창출하는 투자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이른바 ‘밑 빠진 독에 물 붓기’ 식의 복지 재정 투입엔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18대 국회 상반기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상임위 활동을 했던 그가 하반기 기획재정위로 옮긴 이유도 결국은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 구조를 찾으려는 노력이란 해석이다.
|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지난 15일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육영수 여사 36주기 추도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정치적으로는 차기 대선 주자로서 현 정권과의 차별화를 꾀하려 한다는 해석이다. 한 측근은 “박 전 대표는 현 정권이 가진 사람들 중심의 정책을 펴면서 양극화 문제가 심화됐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외교안보 쪽에선 우파적인 정책을 유지하되 복지는 강화하는 쪽으로 이명박 대통령과의 차별화 포인트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