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성장률 및 지니계수 추이
|
우리경제 파이 커졌지만
분배 불평등 더욱 가속화
‘열매 나누는’ 구조로 가야
생산성 강화로 질적 성장
창간 22돌 기획 대논쟁한국사회 미래를 말하다
3부 정책을 말하다-경제
③진보의 새길을 묻자
새 경제패러다임은 ‘Y=f(L, K)’ 주류 경제학의 패러다임을 지탱해온 ‘생산함수’다. 지극히 단순해 보이는 이 공식엔, 생산을 좌우하는 변수는 노동(L)과 자본(K)뿐이라는 가정이 깔려 있다. 결국 이 공식에 따른 최적의 경제발전 모델이란 이 둘의 투입량을 늘림으로써 생산량을 극대화하는 것이다. 물론, 생산량이 늘어날수록 사회 구성원들 누구나 자연스레 더 큰 몫을 챙겨갈 수 있음을 전제로 한 상태에서의 얘기다. 하지만 1930년대 대공황에 버금가는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경제 현실은 이런 믿음이야말로 극히 허약한 토대 위에 서 있는 신기루였음을 분명하게 일깨워주고 있다. 무조건 양을 늘리는 데만 무게를 두는 성장지상주의 패러다임을 대체할 새로운 패러다임을 찾아나서는 발걸음에 힘이 실리는 이유다. ■ 성장의 역설, 키울수록 줄어든다? 성장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은 다양하게 펼쳐졌다. 우리의 경험만 살펴보더라도, 경제개발 초기에는 나라 밖의 자본을 끌어들이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거나 다양한 강제저축을 통해 모은 자금을 소수의 수출대기업에 정책자금이란 형태로 몰아준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제한된 요소비용 아래 노동공급을 늘리려는 정책은 흔히 임금비용 상승을 억제하는 다양한 조처들과 맞물려 시행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우리 경제는 끊임없이 성장에 매진했음에도 정작 그 열매는 구성원에게 고루 돌아가지 못했다. 참여정부를 거치며 미미한 개선 기미를 보이는 듯했던 노동소득 분배율은 이명박 정부 들어 2008년(61.0%)과 2009년(60.6%) 두 해 내리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문가들은 특히 이러한 분배구조의 악화가 성장 자체를 갈수록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라는 데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분배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와 성장률 사이엔 역(-)의 상관관계가 뚜렷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90년대 중반까지 0.26대에 머물던 지니계수는 2009년에 0.294까지 치솟은 상태다. 0~1 사이에 값을 매기는 지니계수는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이 심하다는 뜻이다. 같은 기간 우리 경제의 연평균 성장률이 이전 시기보다 크게 낮아진 것과 대비된다. 파이를 키우는 데만 매달릴수록 불평등 정도는 더욱 심해졌고, 결과적으로 성장 잠재력마저 떨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
시기별 경제성장률 및 충요소생산성 증가율 추이
|
성장의 질적 성격이 달라지고 있다는 조짐은 실제로 ‘미시적’ 단위인 기업활동에서 더욱 뚜렷하다. 신형원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기술발전에 따라 제조사별, 시장별로 제품 품질의 차이가 점차 줄어드는 제품의 ‘커모디티(commodity)화’가 진행되면서, 주요 글로벌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서비스화’를 통해 수익 증대를 도모하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제조업체인 애플이 아이튠스와 앱스토어를 통한 서비스 생태계 구축으로 전혀 새로운 모델을 선보인 것이나, 제록스가 복사기 제조업체에서 문서관리시스템 회사로 탈바꿈한 게 대표적인 예다. ■ 생산-소득 연결고리 찾는 게 급선무 요소생산성을 높이려는 혁신형 성장전략의 열쇳말은 단연 복지다. 교육·양육·보건 등 인적자원 개발에 쓰이는 재원을 비용이 아닌 투자로 인식하는 발상의 전환이 인간의 창의성을 끌어올리는 ‘하이-로드’(High-road)식 성장전략의 첫걸음인 탓이다.
|
기본소득모델 재원(안)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