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8년 6월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촛불집회’에서 시민들이 촛불을 들어올리고 있다.
이종근 기자 root2@hani.co.kr
|
고양무지개연대·커피당
작년 6·2지방선거 ‘돌풍’
상반기 발족 ‘…꿈꾸는나라’
지속가능한 정책운동 꿈
[한국사회 미래를 말하다] 풀뿌리 정치운동
4부 : 결국 정치에 달렸다
②민주-진보의 집권 구성
정치세력이 자신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선 집권해야 한다. 보편적 복지 등 진보정책을 가다듬고 있는 민주개혁·진보 진영이 다양한 연대를 모색하고 있는 것도 2012년 총선과 대선의 승리를 위해서다. 야권은 이를 위해 우선 4·27 재보선 연대협상과 진보정당 통합논의에 시동을 걸고 있다. 시민사회에선 야권통합을 촉진하고, 진보적 정책의제 설정에도 적극 참여하기 위한 시민정치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이들의 시도가 성공할지는 유권자 손에 달렸지만, 야권의 움직임은 보수진영에도 자극제가 되고 있다. 야권연대를 위한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다양한 움직임을 살펴본다.
그것은 한순간 타오른 찰나의 불꽃이 아니었다. 2008년 두달가량 광화문을 물들였던 수십만개의 촛불이 사라진 이후, 많은 이들은 그 역동적 에너지가 어디로 잦아들었는지 궁금해했다. 하지만 겉으론 꺾인 듯해도, 촛불은 곳곳에서 조용히 ‘내일’을 준비하고 있었다. 천안함발 북풍 속에서 얼어붙은 듯했던 민심은 바닥에서 꿈틀대던 촛불의 힘을 2010년 6·2 지방선거에서 투표로 분출시켰다. 2007년 대선, 2008년 총선의 연이은 참패로 움츠러들었던 진보개혁진영이 다시 어깨를 펴는 순간이었다.
촛불이 가져온 성과는 단지 선거 승리만이 아니었다. 촛불은 전국 곳곳에서 부문별로 지역별로 ‘촛불형 참여 시민’들을 한데 모으는 풀뿌리 모임을 탄생시켰다.
지난해 1월 경기도 고양 지역 시민들이 꾸린 고양무지개연대는 정책연대를 기반으로 한 범야권 후보들의 단일화를 주선해 이 지역 경기도의원 8명 전원을 야당 후보로 당선시켰다. 고양무지개연대는 이후 고양시민사회연대회의로 이름을 바꿔 고양시정운영회의에 참여해 행정 현안을 논의하는 데 참여하고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회원들이 오프라인 공간에서 만나 정치를 이야기하는 커피당도 지방선거 직전에 출현한 ‘촛불형 유권자’ 모임이다. 이는 공통 관심사가 있는 사람들이 편하게 소규모로 모여 커피를 마시는 미국의 ‘커피파티’를 응용한 것으로, 온라인-오프라인의 자연스러운 만남 가능성을 열어줬다. 이런 분위기에 힘입어, 전국 곳곳에서 소규모로 뭉쳤던 ‘촛불’을 전국적 단위로 집결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오는 3월29일 준비위를 발족시키는 ‘시민정치행동, 내가 꿈꾸는 나라’는 2008년 거리에서 타올랐던 불꽃의 힘을 ‘지속가능한 변화’를 위한 온기로 바꾸자는 운동이다. 촛불·지방선거의 경험과 교훈을 일상적인 풀뿌리정치로 발전시키자는 것이다. ‘내가 꿈꾸는 나라’ 준비모임엔 고원(서울과학기술대 교수), 김기식(참여연대 정책위원장), 김헌태(전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소장), 남윤인순(전 한국여성단체연합 대표), 민만기(녹색교통운동 사무처장), 신진욱(중앙대 교수), 안병진(경희사이버대 교수), 천준호(전 한국청년연합회 공동대표) 등 정책전문가·시민활동가 31명이 참여하고 있다.
|
시민정치운동의 유형 특징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