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맨 뒤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임형순, 강태원, 박문일, 이상희, 이두헌. 1986년 2집 음반을 낼 당시 모습.
|
한국 팝의 사건·사고 60년 (86) 마지막 아이돌 캠퍼스 그룹 ‘다섯 손가락’
해마다 12월은 공연장마다 관객들로 북적이는 공연 성수기다. 지난 연말, 가장 문전성시를 이룬 음악공연 경향 중 하나로 이른바 ‘80/90 콘서트’를 뽑아도 별다른 이의는 없을 듯하다. 이 공연들이 10여년 전부터 서서히 꿈틀거리기 시작해 2000년대 초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은 ‘70/80 붐’의 연장선상에 있음은 물론이다. 1970년대 포크 가수들과 캠퍼스 그룹이 주축을 이뤘던 중장년층 대상 콘서트의 주인공은 점차 1980년대 브라운관을 주름잡은 왕년의 인기 가수들로 무게중심이 이동하고 있으며 1990년대 초 활약한 가수들로 진용이 넓어지는 추세다. 지난 세밑 ‘80/90 콘서트’ 중 화제가 된 음악인들로는 바다 건너 오랜만에 무대로 돌아온 이지연과 원준희, 그리고 20년 만에 다시 모인 그룹 다섯손가락을 들 수 있다. 특히 다섯손가락은 지난해 최대 히트곡 중 하나인 동방신기의 〈풍선〉의 원곡을 부른 이들로 주목받은 바 있다. 다섯손가락이 한 방송사 가요대전 무대에 동방신기와 나란히 올라 〈풍선〉을 함께 부르던 장면은 2006년 가요계의 인상적인 마지막 스냅사진으로 보아도 무방할 듯싶다. 1985년 3월, 다섯손가락은 〈새벽기차〉를 머릿곡으로 한 음반으로 데뷔했다. 이 음반의 뒷면은 색다르다. ‘임형순(보컬·홍익대 영문과 2), 이두헌(기타&보컬·동국대 경제학과 3), 최태완(키보드&피아노·홍익대 산업공학과 3), 박강영(드럼·추계예대 작곡과 3), 이우빈(베이스·서울대 전자공학과 3)’ 같이, 멤버들의 소속 대학은 물론 학과와 학년까지 자세히 적혀 있기 때문이다(실제 베이스를 연주한 인물은 세션 연주자 조원익이다). 지금 보면 촌스럽거나 아련하지만, 1970년대 말 대학생 가요제의 폭발적인 성공 이후 대학생 음악인의 음반에 그처럼 신상명세를 적는 것은 당시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이미 황혼에 접어들고 있음을 깨닫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송골매, (이치현과) 벗님들, 건아들처럼 프로가 된 그룹사운드가 분투했지만, 청(소)년층의 귀가 헤비메탈과 동아기획 사단의 음악으로 급속히 쏠리는 현상을 막기는 역부족이었다.
|
마지막 아이돌 캠퍼스 그룹 ‘다섯손가락’.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