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반기 50% 육박…정부서 인수·합병 독려
내수시장도 급성장…과잉생산 해결 숙제로
[동아시아 기업의 진화] 2부 중국-열강의 포효
3. 철강, 규모의 경제에 승부를 걸다 상하이엑스포 단지를 가로지르는 황푸강변 동쪽엔 바오산(보산)강철의 낡은 공장이 옛모습 그대로 남아있다. 1913년 중국 상하이에선 첫번째로 지어진 이 특수강 공장은 중국 철강산업의 역사적인 상징이다. 2007년까지 쇳가루를 날리던 공장은 지금은 엑스포 관람객들을 즐겁게 해주는 다양한 공연이 펼쳐지는 ‘보강대무대’로 변신했다. 화려한 변신에 성공한 것은 오래된 철강공장만이 아니다. 중국 철강산업도 최근 몇년새 ‘규모의 경제’를 발판삼아 세계 무대의 주인공으로 올라섰다. 국제철강협회에 따르면, 올 1~5월 중국 조강생산량은 세계 생산량의 45.9%를 차지했다. 1996년 13.5%에 불과했던 점유율은 지난해부터 50%에 육박하고 있다. 생산량도 10년새 거의 4배로 늘었다. 중국 철강업체들은 무서운 기세로 ‘몸집 불리기’에 나서고 있다. 바오산강철은 광동소관강철, 영파강철 등을 집어삼키면서 생산량 세계 3위로 뛰어올랐다. 허베이(하북)강철, 무한강철 등 지난해 세계 10위권에 든 중국 업체만 5곳이다. 안산강철과 안본강철의 합병으로 지난해 6위를 기록했던 안본그룹은 지난 5월 반지화강철마저 합병하면서 이미 4위 포스코를 추월했다. 중국 정부도 인수·합병을 독려한다. 정부는 30%를 밑돌던 5대 철강사의 생산 비중을 내년까지 45%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한 바 있다.
|
세계 철강생산 상위 10개사
|
중국 대형 철강업체들은 생산량 뿐만 아니라 품질과 기술, 친환경성 측면에서도 선진업체들을 빠르게 추격중이다. 중국 제련공업경제발전연구센터의 정위춘 수석연구원은 “당분간 중국 철강산업은 국내 수요 위주로 발전하겠지만, 이산화탄소 배출 억제 등의 사안에서 중국의 발전은 세계 철강산업과 뗄레야 뗄 수 없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비용 부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등에 중국 대형 철강업체들이 요즘 부쩍 관심을 쏟는 이유기도 하다. “철을 가장 싸게 만드는 국가는 다른 국가들을 발 아래 둘 것이다.” ‘강철왕’ 앤드류 카네기의 예언대로, 세계경제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중국 곳곳에선 지금도 ‘담금질’이 계속되고 있다. 상하이/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