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수 중국 전문 저술가
|
[김영수의 사기그릇] 공자의 자기성찰 |
사마천은 공자의 삶을 무척이나 존경했다. 그의 고향인 곡부를 일일이 다니며 그 유풍을 기록으로 남긴 것이 <공자세가>다. 공자는 정치에서는 뜻을 얻지 못했지만 후학 양성을 통해 자신의 철학과 사상을 전했고, 그것이 2000년 넘게 동양에 엄청난 영향을 주었다.
공자는 만년에 자신의 일생을 단 38자로 회고한 바 있는데, 역사상 가장 짧은 회고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공자는 70에 이른 자신의 삶을 다음과 같이 술회한다.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
이 38자의 회고록을 우리말로 옮기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나는 열다섯 무렵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서른 무렵에 내 뜻을 세웠고, 사십 무렵에는 흔들리지 않게 되었고, 오십 무렵에는 천명을 알게 되었다. 육십대에는 남의 말이 순수하게 들렸고, 칠십이 넘자 마음 가는 데로 따라가도 이치에 어긋나지 않게 되었다.”(<논어> ‘위정’편)
모르긴 해도 역사상 명인들 중 이렇게 자신의 삶을 몇 단계로 나누어 함축적으로 간결하게 전달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38자에 불과하지만 그 어떤 자서전보다 값지고 가슴을 울린다. 공자의 인생철학이 새삼스러울 따름이다.
최근 중국은 자국의 언어를 비롯하여 역사와 문화를 전세계에 알리기 위한 국가전략의 하나로 소위 ‘소프트파워’ 전략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 전략의 진정한 의도를 감추거나 희석시키기 위해 공자를 다시 한번 전면에 내세웠다. 의욕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국의 또다른 패권주의 노선을 보면서 공자나 사마천이 남긴 사상과 저술이 얼마나 왜곡될지 걱정이 앞선다.
김영수 중국 전문 저술가
김영수 중국 전문 저술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