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숭실대 통일리더십스쿨의 조은희 주임교수(일어서 있는 이)가 토론 수업인 ‘겨레의 봄’ 시간에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숭실대 제공
|
싱크탱크 광장
올해부터 첫 필수과목으로 지정
한헌수 총장 통일신념이 밑바탕
학생들 주체 발표·토론으로 진행
이수 뒤 통일 관심 2배로 높아져
“처음 생각해본다는 사실에 놀라”
“다양한 각도로 통일을 보는 경험”
내년엔 학교 밖으로 영역 확대 계획
“대학에 필요한 통일마중물” 평가
“통일에 대한 막연한 생각을 강연과 여러 활동을 통해 구체화할 수 있어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한민족의 개념, 한민족 통일의 의미에 대해 제가 처음 생각해 본다는 사실에 놀랐고 반성했습니다.” “통일 대비에 대한 서로 다른 의견을 다른 과의 여러 학우와 나누고 절충하는 등 다양한 시선에서 통일을 바라볼 수 있어서 좋은 경험이 되었습니다.”
올해 서울 숭실대에서 진행한 ‘통일리더십스쿨’에 참가한 1학년 학생들이 무기명으로 남긴 후기 중 일부분이다.
통일리더십스쿨은 숭실대가 올해 전체 신입생들에게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통일 교육 프로그램 이름이다. 다시 말해서 올해 숭실대에 입학한 신입생 2600여명은 한 사람도 예외 없이 경북 문경의 ‘숭실통일리더십연수원’에서 이 프로그램을 들어야 했다는 말이다. 실제로 지난 3월초 기계공학과를 시작으로 지난 12월2일 경영학과에 이르기까지 숭실대 2015학번 학생들이 모두 20차례에 걸쳐서 이 3박4일 교육과정에 입소했다.
통일리더십스쿨은 커다란 실험으로 불릴 만하다. 우리나라 대학 역사를 통틀어 봐도 이렇게 전체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통일 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사례가 없다. 그러기에 많은 대학들이 이 프로그램의 성공 여부를 기대 반 우려 반으로 지켜봤다. 숭실대 내부에서조차 우려의 목소리가 작지 않았다. 핵심은 통일이 젊은 신입생들에게는 너무도 관심이 없는 주제라는 것이다. 대통령은 ‘통일대박’을 외치지만, 정작 학생들의 관심 밖에 있는 통일 교육을 필수과목으로 정했을 때 여러 가지 불만이 나올 수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2013년 취임한 한헌수 현 총장이 통일 교육에 대한 신념과 뚝심으로 여러 난관들을 돌파했다. 한 총장은 “통일은 앞으로 젊은이들을 추동할 수 있는 유일한 원동력”이라고 강조하면서, 2014년 ‘통일시대 통일대학’을 표방했다. 학교 커리큘럼도 크게 바꾸고, 추구하는 인재상도 ‘통일시대 창의적 리더 육성’으로 재정립했다.
모든 신입생들이 입소한 현재 시점에서 볼 때 한 총장의 뚝심이 만들어낸 커다란 실험은 어떤 결과를 얻었을까? 숭실대는 성공적이라고 평가한다. 올해 통일리더십스쿨이 두 마리의 토끼를 모두 잡는 성과를 냈다고 본다. ‘통일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을 높이면서 ‘프로그램에 대한 재미’까지 놓치지 않았다는 것이다.
|
3박4일 과정의 통일리더십스쿨 마지막 단계는 학생들이 그동안 배우고 토론한 내용을 기초로 스스로 프레젠테이션 하는 것이다. 숭실대 제공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