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종석의 오늘 점심] 군평서니·금풍생·샛서방고기 |
군평서니만큼 별명이 많은 생선도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평서니라는 표준명보다 금풍생이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고 경남에서는 꾸돔, 전남에서는 쌕쌕이라는 별칭으로 부른다. 그 외에도 지역에 따라 딱돔, 꽃돔, 얼게빗등어리, 챈빗등이, 딱때기, 금풍쉥이, 금풍선이 등의 다양한 호칭으로 불린다.
그 많은 별호 중에서도 두드러지게 눈에 띄는 것은 ‘샛서방고기’라는 다분히 선정적인 명칭이다. 얼마나 맛이 있었으면 남편에게는 안 주고 몰래 만나는 애인에게만 챙겨주는 고기라 했겠는가. 시인 김영애는 “시 한 편 쓴다는 일이/ 물고기 이름에 환장하여 미치는 일일까/ 금풍생이 살점 떼어서/ 무릎 꿇고 앉아 샛서방 입에 넣어주면/ 오직 맛으로만 먹는다는 황홀”이라고 노래했다. 시 쓰기에 비유될 정도면 생선으로서는 출세의 반열에 오른 것이 아닐까.
남도에 구전되어 오는 그 이름의 내력에는 불경스럽게도 이순신 장군까지 등장한다. 이순신 장군이 전라좌수사로 부임했을 때 우연히 이 고기를 시식해보고 맛이 있어서 그 이름을 물어보았는데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자 당시 전라좌수영에서 성가가 높던 평선이라는 관기의 이름을 따서 구운평선이라 했다는 것이다. 그것이 변해서 군평서니가 되었다는 이야기인데 확인할 길은 없지만 이쯤 되면 여수지방에서 군평서니를 굴비보다 더 값지게 치는 연유를 알 수 있다.
깊은 바다에서 자라 뼈가 억세고 살은 적지만 맛은 달곰하다. 군평서니의 제맛은 내장은 물론 대가리와 뼈까지 손으로 뜯어서 어적어적 씹어 먹어야 알 수 있다. 여수의 구백식당은 오래전부터 군평서니구이로 이름을 떨치고 있는 집이다. 서울에서는 마포의 남해바다에서 그 맛을 볼 수 있다. 예종석 한양대 경영대학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