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종석의 오늘 점심] 헛제삿밥 |
유교 문화의 전통을 이어오는 안동에 헛제삿밥이 있다. 제사에 쓴 음식을 음복으로 먹는 일이야 다반사지만, 헛제삿밥은 제사를 안 지내고도 해먹으니 별나다.
헛제삿밥의 유래에 대해서는 비슷하면서도 내용이 조금씩 다른 여러 가지 이야기가 회자된다. 가장 그럴듯한 것은 유생야식기원설이다. 밤늦게까지 책을 읽던 안동의 유생들이 출출해지면 하인에게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거짓말을 해서 제찬을 차리게 한 뒤 허투루 제사 지내는 시늉만 하고는 나눠 먹은 것이 그 연원이라는 것이다. 예로부터 안동은 맹자가 태어난 추나라나 공자가 태어난 노나라와 같은 고장이라는 뜻에서 ‘추로지향’이라 부를 정도로 유학의 뿌리가 깊은 곳이다. 당연히 제사도 많고 서원과 유생도 많았던 곳이니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
같은 맥락이지만 유생들의 모임에서 흔히 먹던 비빔밥의 재료가 제사음식과 비슷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는 견해도 있다. 양반들이 춘궁기에 내놓고 쌀밥을 먹기가 미안해서 제사를 핑계로 성찬을 차려먹은 것이 시초라는 설과 제사를 지낼 수 없었던 천민들이 한이 맺혀 제사음식을 만들어 먹은 것이 내력이라는 의견도 있다.
아무튼 제사음식은 조상님께 바친 음식을 나눠먹는 신인공식(神人共食)의 음식이라는 점에서 경건한 의미가 있다. 조리할 때 후추, 마늘, 고춧가루 같은 자극적인 양념을 쓰지 않아 담백해서 좋다. 각종 나물에 소나 상어고기로 만든 산적을 곁들여서 간장에 비벼 먹는 헛제삿밥은 다이어트 건강식의 원조라 할 만하다. 헛제삿밥이 안동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해동죽지>에는 대구의 명물로 기록되어 있으며 진주의 헛제삿밥도 유명하다. 안동의 까치구멍집에 가면 헛제삿밥을 맛볼 수 있다. 한양대 경영대학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