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종의 궁극적인 목표는 개체 번식이다. 그 과정에서 자연 속에 제한적으로 주어진 먹이를 얻기 위해 종들 사이의 경쟁이 벌어지고, 먹이를 얻기 위해 환경에 잘 적응한 종이 자연의 선택을 받아 살아남는다. 이것이 ‘자연선택설’인데, 잘못 적응한 종의 처지에선 그것이 ‘자연도태설’이 된다. 이것은 진화론의 작동 메커니즘 가운데 하나다. 세계사 교과서에서는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시켜 ‘사회진화론’이 등장했다고 설명한다. 그 이론에 따르면 잘 적응한 선진국이 부적응 후진국을 지배하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사회진화론은 제국주의를 합리화하는 첨병의 노릇을 톡톡히 했다. 그런데 사실은 사회진화론이 생물학적 진화론에 선행했다. 이미 18세기 말에 영국 국교회의 성직자였던 토머스 맬서스는 <인구론>에서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나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늘어난다는 논리를 펼쳤다. 결과적으로 식량은 늘어나는 인구를 감당하지 못해 재앙이 뒤따르게 되는데, 기근과 질병이 인구를 조절해서 이 세상이 제대로 돌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는 것이다. 그러니 기근과 질병은 인구를 줄여주는 자연적인 수단이며 가난한 자들에 대한 복지 대책이나 지원은 불필요하다는 것이다.
|
조한욱 한국교원대 역사교육과 교수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