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G2로 부상…협력선언한 미도 “한-중 갈등 없길”
한국, 미 주도 MD와 거리두기 등 ‘등거리 외교’해야
[중국의 길 실험과 도전]
3부 : 중국굴기와 한국①중국의 부상과 한국 정부 2008년 국제 금융위기로 미국이 휘청거리며 중국의 부상은 현실이 됐다. 급기야 지난달 19일 미-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협력적 동반자 관계’를 선언하며 국제사회의 동업자가 됐음을 안팎에 선언했다. 이명박 정부의 지난 3년 동안 ‘막말 관계’로 점철됐던 한-중 관계에도 싫든 좋든 중요한 꼭짓점이 찾아온 셈이다. 대만 무기 판매, 위안화 절상, 인권문제 등으로 갈등을 거듭하던 미-중이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상호존중과 호혜공영’의 관계로 방향 전환을 한 데 대해, 이희옥 성균관대 교수는 14일 “주요 2국(G2) 체제를 공식화하고 미-중간 대등한 외교를 선언한 것”이라고 말했다. 국책연구기관의 한 연구원은 “단기적으로는 양쪽의 권력교체 시기인 2012년까지, 중장기적으로도 양쪽 국력 추세의 변화가 현격해지기 전까지는 현재의 추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권 출범 이후 이명박 정부는 대북 압박을 통한 북한 붕괴론에 기초해 ‘북한을 감싸는’ 중국을 향해 거침없이 대립각을 세워왔다. 또 중국의 ‘굴기’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에 휩싸여, 중국공포증(시노포비아)을 해소하는 처방으로 한-미 동맹 강화에 ‘올인’해왔다. 이런 이명박 정부의 대중국 정책이 미-중 동업 체제에서 힘을 발휘하기 어려우리라는 점은 자명하다. 이런 대중국 정책은 한-미 동맹을 강화하기보다 오히려 미국을 불편하게 만든다. 이명박 정부의 대중국 정책이 딜레마에 빠져 있는 셈이다. 박홍서 외국어대 연구교수는 “미국과 중국의 담합 구조에선 한-중 관계나 한-미 동맹은 미-중 관계의 하위 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고 잘라 말했다. 미-중 관계의 변화가 한반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징후는 벌써부터 나타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정통한 외교소식통은 “최근 미국 정부가 미-중 협력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한국 정부가 중국이나 북한과 갈등을 일으키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는 외교적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고 전했다.
|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방한한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을 청와대에서 만나 정상회담을 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