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5.12 10:40 수정 : 2011.05.12 10:45

프랑스식 불고기

[매거진 esc] 문영화·김부연의 그림이 있는 불란서 키친
“비린내” 김밥 싫다 해도 마늘 뺀 ‘불고기’엔 환호

프랑스인이 가장 행복하다고 느끼는 순간은 언제일까? 캐비아에 샴페인 한 잔 마실 때란다. 1㎏에 수백만원을 호가하는 철갑상어알과 최소 3~5년은 포도주 저장고에서 묵히면서 하루에 두 번씩 병목을 돌려줘야 탄생하는 샴페인은 호사스런 음식의 대명사다. 프랑스 초대 대통령이었던 드골 장군은 360가지가 넘는 치즈 중에 하나를 골라 먹는 프랑스 국민의 입맛을 어떻게 다 맞추느냐고 걱정했다. 조제핀은 나폴레옹을 잠에서 깨우기 위해 그가 좋아하는 마늘 치즈를 침대 머리맡에 두었다고 한다. 프랑스인이 집으로 저녁 초대를 했다면 식사 내내 안주인의 요리 실력에 대해 감탄의 인사말을 던지지 않으면 다시는 그 집 문턱을 넘을 수 없다.

맛있는 것이라면 사족을 못 쓰는 프랑스 사람들은 각 나라의 산해진미도 즐기는데 도시는 물론이고 시골 마을을 가더라도 외국 음식점을 찾는 게 한국에서 맥도날드 찾는 것보다 더 쉽다. 파리만 하더라도 한국 식당이 100여개에 이른다. 그러기에 프랑스인들은 외국 친구가 식사 초대를 한다면 두말 않고 오케이. 하나 그 까다로운 입맛을 맞추기 위한 메뉴 선정은 머리가 다 지끈거릴 정도다. 해조류를 먹지 않기에 김밥을 주면 해물 비린내가 난다고 하고, 온갖 종류의 허브는 다 즐기면서 깻잎이나 부추는 향이 강하다고 하고, 디저트로 준비한 떡은 이에 달라붙는다고 꺼린다. 잔치 기분 내며 밀전병을 부치고 여덟 가지 고명을 준비해 구절판을 내면 멕시칸 분식인 ‘타코’가 돼버린다. 하지만 “이건 맛이 없어”라는 말은 절대로 하지 않는 그들. 다만 “나는 좋아하지 않아”라고 나름의 예의를 갖춘다. 하지만 이런 입맛의 프랑스인도 무릎을 꿇는 한국 음식이 있으니 다름 아닌 ‘불고기’다. 식탁 중앙에 불판을 올리고 구우면서 함께 먹으면 정겨운 문화라며 놀라고, 뚝배기에 보글보글 담아 한 사람씩 대접하면 시각적 효과에 감탄한다. 그들은 남은 소스에 밥을 비벼 먹으며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미소를 짓는다.

이번 불고기 레시피는 남편이 유학 시절 한국 식당에서 설거지하며 어깨너머로 배운 것이다. 이 요리는 현지인의 입맛에 맞춘 것이고, 마늘이 들어가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 프랑스인들은 접시 위 마늘의 향을 즐기지만 그 향이 몸에 배는 것을 싫어한다. 프랑스에 살면서 두고두고 잘 써먹고 널리 전파했다.


Tip 1. 미리 재울 필요 없이 먹기 전에 소스를 부으면 된다. 2. 고기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키위나 파인애플을 쓰는 경우가 있는데 극히 소량만 넣어야지 조금만 용량을 초과해도 죽이 되니 웬만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 3. 레몬이 냄새를 잡아주기에 외국인에게 대접하기 좋은 레시피이다.

프랑스식 불고기

‘◎’ 재료 | 불고기 감으로 얇게 썬 소고기 1kg, 간장 200ml, 설탕 150ml, 물 600ml, 양파 1/2개, 사과 1/4개, 후추 1ts, 레몬 1조각

‘◎’ 만드는 법 | 1. 간장과 물에 설탕을 잘 녹인다. 2. 양파와 사과를 갈아 1에 넣고 레몬을 띄운다. 3. 준비된 소고기에 붓고 굽는다.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문영화·김부연의 그림이 있는 불란서 키친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