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 23돌 창간특집>
구리·크롬 등 ‘광물자원 보고’
철광·동광산 공동개발 추진…제품 판매기반 확충도 힘써
지난달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 ‘포스코 아프리카 사무소’가 문을 열었다. 각 계열사를 아우르는 아프리카 사업 전략을 세우고 원료구매 등을 총괄하는 곳이다. 한국에서 파견된 인력은 3명뿐이지만, 포스코가 거는 기대는 크다. 새로운 먹을거리를 찾을 전초기지이기 때문이다.
올해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첫 국외 출장지로 선택한 곳도 바로 ‘검은 대륙’이었다. 정 회장은 지난 1월 카메론 등 4개국을 방문해 각국 정상, 관계부처 장관을 만나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그만큼 포스코가 아프리카에 공을 들이고 있다는 증거다.
2020년 매출 200조원 달성이란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포스코 입장에서, 아프리카는 성장세를 가속시켜줄 새로운 엔진이다. 무엇보다 철강기업에서 종합소재기업으로 거듭나려는 포스코한테 ‘광물자원의 보물창고’인 아프리카는 매력적일 수밖에 없다. 석유, 천연가스, 철광석, 구리, 크롬 등의 각종 지하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돼 있고, 최근엔 석유화학·발전 플랜트 건설이 활발해지면서 중동을 대신할 건설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어서다.
|
지난 1월 포스코는 짐바브웨 현지기업인 앵커사와 광권개발회사 합작 설립을 추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무시이와 앵커사 최고경영자(왼쪽 둘째), 정준양 포스코 회장(오른쪽 셋째), 이동희 대우인터내셔널 부회장(맨 오른쪽) 등이 양해각서 체결식에 참석했다. 포스코 제공
|
황예랑 기자 yrcomm@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