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D 입체 마음테라피
|
[esc] 3D 입체 마음테라피
주변 사람들로부터 칭찬 못 받으면 뿌리부터 흔들려요 30대 중반 싱글 여성입니다. 꽤 유명한 대기업을 다니다가 지난해 말 세계 초일류 기업이라고 불리는 회사로 옮겼어요. 모자랄 것 없어 보이지만, 저는 칭찬이나 인정을 못 받으면 불안하고 힘든 사람입니다. 어린 시절, 칭찬과 애정을 아끼지 않으셨던 어머니와 달리 아버지는 언제나 이불 정리나 청소 같은 작은 일로 크게 혼을 내시며 늘 제게 ‘뭔가 부족한 애’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하지만 초등학교 때 2년을 함께한 담임선생님은 제 일기에 매일 두 쪽씩 답장을 써주며 제게 사랑을 주셨죠. 그 뒤로 늘 선생님 또는 상사로부터 칭찬을 들으려고 일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런 경험은 별로 없지만) 혹시라도 이들이 저에게 큰 관심을 주지 않으면 견딜 수 없습니다. 기가 죽고, 입맛이 없고, 제가 평범한 사람 같아 초조해집니다. 회사를 옮긴 뒤 저를 가장 괴롭히는 건 바로 상사입니다. 그는 칭찬에 인색합니다. 그동안 들어온 “넌 달라, 넌 대단해”라는 말을 하지 않습니다. 가뭄에 단비처럼 가끔 칭찬도 합니다만 제가 기가 죽는 것은 지금의 상사가 저보다 배로 꼼꼼하고 철저하다는 겁니다. 게다가 최고의 학벌에, 다재다능합니다. 오히려 그 상사 앞에서는 긴장해 실수가 많아집니다. 오늘도 상사가 퇴근을 하면서 습관적으로 질책하는 말투(다른 직원들에게도 그렇게 대합니다)로 말하자 “저는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답했습니다. 울컥하며 회사를 나서다, 업무 데이터를 묻는 직원에게 답을 해줬더니 “역시 과장님은 최고야!”라는 말이 돌아와 아주 약간 살 것 같았습니다. 그 상사가 정말 이상한 사람이었다면 차라리 마음이 편했겠지만, 그는 따뜻하지는 않지만 보통의 상식적인 좋은 상사입니다. 늘 감독의 사랑으로 주연만 하던 배우가, 관심이 없는 감독 밑에서 조연을 하는 듯한 느낌…이라면 정확할까요. 저를 어떻게 하면 좋나요? 고민상담은 gomin@hani.co.kr <심영섭 대구사이버대 교수(상담심리학)·한국영상영화치료학회장당신 인생의 ‘감독’이 되어야→
|
주변 사람들로부터 칭찬 못 받으면 뿌리부터 흔들려요. 일러스트레이션 이동희
|
그리고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열쇠를 쥐고 있는 사람이 누구인가요? 상사 앞에서는 마치 조연을 하는 듯한 느낌이라고 하셨죠? 저 같으면 부모든 상사든 누가 내 인생의 감독 노릇을 하는 것 자체에 대해 땅을 치고 후회하겠습니다. 스스로 자기 보상을, 자기 칭찬을 해보세요. 상사가 아무리 질책을 해도 내가 최선을 다했다면 오늘 나를 위해 맥주 한잔 하면서 스스로 칭찬해주는 거죠. 저는 심지어 밤새워 기업 강의 준비한 날, 친구들이 보는 ‘페이스북’에 ‘넌 정말 책임감 있는 인간이다’, 이렇게 스스로 칭찬해 주었답니다. 진정한 자존심은 인생의 감독인 ‘나’에게서 나옵니다. 내 칭찬을 잘해줘야 남 칭찬도 잘할 수 있고요. 무엇이든 잘 해내는 파에톤 양이시니 금방 배우시게 될 겁니다! ^^ 호호. 프로레슬러·<청춘매뉴얼제작소> 저자
스스로 만족하는 법, 찾아보세요→
애초에 ‘모자란 나’는 없었을 수도…→ 우선 저는 칭찬에 인색한 두 인물(아버지·상사)에게 동의 못하겠단 말씀부터 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칭찬과 인정에 대한 욕구는 성장에 좋은 동기가 됩니다. 특히 주인공처럼 재능과 장점이 많으면 뛰어난 인물이 될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그러나 그 욕구가 지나치면 충분히 훌륭한 자신에게도 만족 못하고 그만큼 자신감이 약해지는 결과를 낳기도 하지요. 주인공의 경우, 어머니와 선생님의 칭찬이란 자양분으로 잘 성장하시는 동안, 사소한 잘못에도 크게 꾸짖던 아버지 때문에 어리둥절한 실망감을 겪으신 것 같습니다. 아버지는 누가 봐도 ‘엄친딸’인 주인공에게는 왜 그리 칭찬에 인색하셨을까요? 백번 좋게 생각해서 겸손한 딸을 만들기 위한 채찍질이었다 하더라도 칭찬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은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덕분에 주인공은 뭘 더 해야 그분을 만족시킬 수 있고 인정과 칭찬을 받을 수 있을지 낭패감이 들었을 듯도 합니다. 어머니와 선생님 칭찬을 들으면 안심이 되지만, 뭔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을 가능성 2%도 늘 도사리고 있었던 거죠. 결국 칭찬으로 자주 안심하지 않으면 이 부족함을 채울 수 없는 구조는 최근의 직장생활에서까지 이어지고 있고요. 그런데 말이에요. 그 부족한 무언가는 실제 없었던 걸지도 모릅니다. 있지도 않았던 부분이기 때문에 부단한 노력에도 채워지지 않았던 겁니다. 주인공은 어렸을 때나 지금이나 괜찮은 정도가 아니라 아주 잘하고 계십니다. 그러니 이제는 칭찬에 인색한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좀더 능동적으로 그들의 의도를 해석해봐야 합니다. 가령 어릴 적 아버지의 얘기는 현재에 만족하지 말고 교만하지 않은 사람이 되라는 교훈이었다고 생각해봅시다. ‘너는 지금도 충분히 훌륭하지만 모든 것에서 다 최고가 될 수는 없고 조금은 부족하고 실수도 할 수 있단다. 그러니 칭찬을 받을 때도 겸손해야 해’라고 말이죠. 그에 대한 노력이라면 충분한 칭찬을 들어도 스스로 그 칭찬의 레벨보다 조금은 낮춰 받아들이는 겁니다. 그리고 자신의 잠재력은 무한하지만 모두 칭찬받으려 하지 않고 내공으로 가지고 있겠다고 생각해보세요. 일러스트레이션 이동희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