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07 10:48 수정 : 2011.07.07 10:48

송용진의 턴 온 더 뮤지컬

송용진의 턴 온 더 뮤지컬
화장실에서 소리 지르던 그녀는 응급실에 실려갔다

보통 지방 공연을 다니다 보면 공연팀 전체가 그 지역 모텔에서 머물곤 한다. 그날도 공연차 지방 한 모텔에서 티브이를 보다, 영화 골라 보기 서비스로 개봉관에서 빨리 내려 놓쳤던 영화 <여배우들>을 찾아냈다. “그냥 볼만해”였던 주변의 평가와 달리 나는 웃겨 죽을 뻔했다. 영화 보는 내내 깔깔깔. 특히 고현정·최지우의 아주 치사한 싸움과 그 상황은 ‘주성치의 코미디’ 이상이었다.

뮤지컬 공연을 하다 보면 여배우들 사이의 끝 모를 시기와 질투를 자주 목격한다. 거의 매일 <여배우들>을 연습실과 공연장에서 라이브로 감상하고 있는 셈이다. 원래 배우는 무대에서 가장 빛나고 싶어하는 일이어서 그러려니 이해하지만 말이다.

위더스필름 제공
여배우 ㄱ은 뮤지컬 경력이 어느 정도 됐고, 여배우 ㄴ은 대중적 인지도는 있지만 뮤지컬 경력은 비교적 짧았다. 둘 사이의 분위기는 처음부터 그다지 좋지 않았다. 서로 견제한다는 느낌이랄까? ㄴ은 나이도 어리고 후배였지만 왠지 주도권을 쥐고 싶어하는 듯 보였고 주변 남자배우와 스태프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려고 노력했다. ㄱ의 눈에는 그 모습이 걸렸던 모양이다. 연습 도중 이들은 결국 몸싸움 직전까지 갔다. “너 뮤지컬 몇 년이나 했어?”, “너 몇 살이야?” 화장실에서 ㄱ이 소리 지르자, ㄴ은 분에 못 이겨 소리 지르다 기절해 응급실까지 실려갔다. 뭐, 기절한 척한 것도 같지만 다들 입 밖으로 낼 수는 없었다.

더블캐스트(번갈아 연기하도록 한 배역에 두 배우를 선정)가 되면 더 심해진다. 대체로 싸움이 나 서로 다시는 안 보겠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상대역을 맡는 나 같은 남자배우들은 그녀들의 ‘뒷담화’ 들어주기에 많은 노력을 들여야 한다.

ㄷ과 ㄹ도 더블캐스트됐다. ㄷ은 당시 뮤지컬 신예스타로 떠오르고 있었고, ㄹ은 연예인 출신의 톱스타였다. 그날 ㄷ은 낮 공연이었고 ㄹ은 저녁 공연이었다. 낮 공연 뒤 우리나라에서 손가락 안에 꼽히는 뮤지컬 제작사 대표가 분장실을 찾았다. 소식을 접한 ㄷ. 급히 분장실 문을 열고 대본 읽는 척하다가, 그 대표가 지나가자 맨발로 뛰쳐나왔다. “바쁘신 대표님이 이렇게 제 공연을 보러 와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엄청난 감동의 소용돌이에라도 빠져든 듯 눈물까지 흘려가며 반겼다. 하지만 그 대표는 ㄹ의 저녁 공연을 보러 왔다가 시간이 일러 잠시 분장실에 들렀던 것.

ㅁ과 ㅂ은 비슷한 나이에 경력도 비슷해 문제가 생긴 경우다. 보통 더블캐스트일 경우에는 한 사람이 목 상태 등에 문제가 생기면 다른 배우가 대신 공연한다. 그날 ㅁ은 상태가 무척이나 안 좋았다. 하지만 ㅂ은 끝까지 나타나지 않았고, 둘 모두 “공연 같이 못 하겠다”며 울어댔다.

얼마 전 <블랙 스완>에서도 내털리 포트먼의 소름 끼치는 연기에서 ‘여배우’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쇼걸>에서는 계단에서 밀어버리기까지 하지 않던가? 물론 모든 여배우들이 다 그렇진 않지만, 적어도 ‘여자의 적은 여자’라는 말은 맞는 것 같다.

음악창작단 ‘해적’ 대표·뮤지컬 배우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송용진의 턴 온 더 뮤지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