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08 21:10 수정 : 2011.07.10 15:22

마이클 샌델의 정의사회의 조건 고바야시 마사야

‘다음 국가…’ 등 정치철학서 눈길

다가오는 2012년은 총선과 대선이 함께 치러지는 ‘정치의 해’다. 현실 정치가 구질구질하다고 느낄수록 ‘정치 혐오증’에 빠질 수 있지만 그렇기 때문에 정치철학을 논의해야 할 필요성도 커진다. 정치철학 교과서라 할 수 있는 마이클 샌델 하버드대 교수의 <정의란 무엇인가>가 지난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내년 우리 사회를 뜨겁게 달굴 정치 문제에 대해 좀더 심도 깊게 생각해보게 하는 책들, 어떤 것이 있을까?

우선 검증된 인기도서 <정의란 무엇인가>가 있다. 이 책은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 등 현대 정치철학의 주요 쟁점들을 피부에 와닿는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대신 이 책은 지은이 자신의 정치철학을 또렷하게 강조하지는 않는다. 일본 지바대학 교수 고바야시 마사야가 쓴 <마이클 샌델의 정의사회의 조건>(황금물고기)은 <정의란 무엇인가>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 등 샌델의 주요 저작들을 살피며, ‘열린 공동체’를 지향하는 샌델의 정치철학에 대해 들여다보는 책이다. 지은이는 “샌델의 정치철학의 핵심은 ‘좋은 삶’에 대한 추구, 곧 선이 있는 정의”라며 “공리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 고전적인 정의론으로 되돌아간 것”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공공철학’이라는 개념을 통해 샌델이 말하는 공동체가 역사적인 변화에 역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공동체라는 점을 지적한다.

다음 국가를 말하다-공화국을 위한 열세 가지 질문 김상봉·박명림
인문학자 강유원씨가 쓴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라티오)는 플라톤의 <국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등 정치사상을 다룬 서구의 고전들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지 일러주는 책이다. 지은이는 고전이 쓰여진 시대의 상황을 고려할 것, 기본 개념을 철저하게 익힐 것 등 고전을 읽을 때 주의할 사항을 정리해준다. 지은이는 “정치는 말로 하는 것”이라며 “인간은 공동체에서 살아가는 존재인데, 공동체 속 인간들 사이에서 생기는 갈등은 말에 의한 설득으로써 해결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 설득의 궁극적 근거를 제공해주는 정치사상은, 결국 공동체에 사는 모든 이들이 행복한 삶을 두루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는 것이다.

우리 시대의 정치철학에 대한 고민을 생각해보려면 철학자 김상봉 전남대 교수와 정치학자 박명림 연세대 교수가 ‘참된 공화국의 건설’을 주제로 펼친 대화를 묶은 <다음 국가를 말하다-공화국을 위한 열세 가지 질문>(웅진지식하우스)이 있다. 정치철학과 역사, 용산 참사와 같은 현실 등을 넘나들며 ‘민주공화국’이란 어떠해야 하는지 고민하게 한다. 지은이들은 “민주국가가 모두에 의한 나라라면, 공화국은 모두를 위한 나라”라는 핵심을 짚어준다. 두 사람의 사유에는 ‘씨알’이란 개념으로 개인과 전체의 관계성을 고민했던 함석헌의 생각이 녹아들어 있다. 정치의 목적, 국가의 본질과 구실 등 그동안 우리 사회에서 제대로 논의되지 못했던 주제들을 철저하게 우리 삶에 기반해서 펼쳐냈다. 최원형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떠나자 여름휴가, 시원한 책과 함께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