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08 21:15 수정 : 2011.07.10 15:21

그리스 고전 배경 이해 ‘그리스인…’
개념을 강의처럼 쉽게 ‘…사회과학’
청소년들에겐 ‘왜 세계의 절반은…’

‘필독도서’ 목록에 실린 셀 수 없이 많은 교양·인문서의 이름들은 늘 사람을 질리게 만든다. 인류 역사만큼이나 오랫동안 층층이 쌓여온 고전들도 마찬가지다. 내 관심사와 연결되는 책들은 무얼까? 어떤 책부터 봐야 할까? 이런 고민을 하는 이들을 위해 ‘입문서’가 있다. 폭넓은 지식 세계를 간추려서 쉽게 전달해주기 때문에, 읽지 않은 책도 대강 ‘어떤 책이구나’ 감을 잡게 만들어준다. 평소 쏟아져나오는 책들에 좀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를 해주는 인터넷 서평꾼 로쟈가 책 선정에 도움을 줬다.


그리스인 이야기 앙드레 보나르
서양 정신문화의 뿌리는 그리스다. 그리스 연구에 평생을 바친 앙드레 보나르가 쓴 <그리스인 이야기>(전3권, 책과함께)는 서양 문명의 발원지인 그리스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를 돕는 책이다. 호메로스부터 에피쿠로스까지, 그리스인들이 처했던 환경적 조건부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을 살피며 그리스인들의 실질적인 삶과 생각이 어떠했는지 드러냈다. 딱딱한 글로서 전해지기 쉬운 그리스 문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생생한 삶의 현장으로 전해준다. 많은 그리스 고전들이 탄생한 문명사적 배경을 알 수 있다.

언론인인 데이비드 덴비가 쓴 <위대한 책들과의 만남>(씨앗을뿌리는사람들)은 이름난 서양 고전들을 다루는 책이지만, 접근 방법이 독특하다. 중년의 지은이가 집 근처 컬럼비아대학을 다시 찾아 학부생들이 듣는 교양필수 과목을 1년 동안 청강하고 책을 읽은 경험을 풀어놓은 것이다. 오랫동안 고전을 가까이하지 않았던 지은이는, ‘지금 여기’만 강조하는 미디어 중심의 세상 속에서 “타자와 맞닥뜨리는 만남의 지점이며, 현실을 성찰하는 힘을 준다”며 고전 읽기의 새로운 의미를 강조한다.


위대한 책들과의 만남 데이비드 덴비
입문서의 가장 큰 함정은, 그저 간략한 소개와 해설에만 치중할 경우 독자들에게 신선한 시각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매일경제> 문화부 기자이자 시인인 허연씨의 <고전탐닉>(마음산책)은 그런 함정을 뛰어넘은 고전 소개서다. 자신의 작업을 ‘사적 고백’이라고 일컫는 지은이는, “내가 그 책들을 어떻게 만났고 어떻게 이해했으며, 그 책들이 내게 와서 무엇이 되었는지를 말하고 싶었다”고 말한다.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과 같은 문학작품에서부터 엘리아스 카네티의 <군중과 권력>과 같은 사회과학 서적까지 동서양의 명저 56권을 읽고 나름의 방식으로 정리했다. 짧은 글 속에 명료한 해설과 감상을 담았다.


나와 너의 사회과학 우석훈
사회과학에 대한 입문서로는 최근 출간된 우석훈 박사의 <나와 너의 사회과학>(김영사)을 추천한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막막해하는 사람들이 큰 부담 없이 사회과학 공부를 시작할 수 있게 안내하는 책을 내고 싶었다”는 지은이의 말처럼, 사회과학의 핵심적인 개념들을 강의처럼 쉽게 풀어놓았다. 과학주의와 해석학, 환원주의와 다원론, 실존과 선택 등의 딱딱하게 느껴지는 개념들에 좀더 쉽게 다가설 수 있게 한다. 지은이는 엘리트 남성의 전투 용어로 뒤덮인 사회과학의 언어가 여성을 포함한 생활인들의 일상용어로 바뀌어야 ‘사회과학의 르네상스’가 가능하다고 역설한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청소년들에게 권하는 입문서로는 장 지글러의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갈라파고스)가 있다. 유엔 식량특별조사관으로 오랫동안 근무했던 지은이가 아들과 대화하는 형식을 통해 국제 기아 문제를 폭넓게 다룬다. 2005년 기준으로 10살 미만의 어린이가 5초에 1명씩 굶어 죽어가고 있다는 사실 등 적나라한 기아의 실상도 충격적이지만, ‘왜?’라는 질문이 더욱 무겁게 다가온다. 지은이는 절망적인 굶주림의 현실 반대편에는 다국적 금융자본과 이를 유지하는 과두적 권력이 있다는 사실을 까발리며, “기아에 대한 범세계적 투쟁이 어려운 것은 세계은행, 세계무역기구, 국제통화기금의 무차별적인 신자유주의 정책 때문”이라고 질타한다. 서아프리카의 작은 국가 부르키나파소에서 개혁 정치를 펼치며 식량 자급자족을 이뤄냈지만, 프랑스 일부 세력의 사주로 살해당한 상카라 대통령의 이야기는 그 대표적인 본보기다.

지은이는 한국어판 서문에 “다른 사람의 아픔을 내 아픔으로 느낄 줄 아는 유일한 생명체인 인간의 의식 변화에 희망이 있다”고 말한다. 이 책이 단지 빈곤에 대한 보고서가 아니라 인간의 삶과 생각을 변화시키려 하는 인문학 책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떠나자 여름휴가, 시원한 책과 함께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