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적용된 ‘원스타트 아웃’ 파장
“한 번 실수에 너무 가혹”…팬들 흥미도 떨어뜨려
긴장 높여 기록향상 주장도…IAAF “룰은 룰이다”
0.01초 ‘찰나의 승부’. 100m 출발선에 선 선수들은 100분의 1초에 목숨을 건다. 좀더 빨리 뛰어나가려는 욕심은 ‘지구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 우사인 볼트(25·자메이카)라고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과도한 욕심이 때론 주변 선수들의 경기력에 악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 때문에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은 부정출발 규정을 꾸준히 강화해 왔다. 하지만 볼트가 2011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남자 100m 결승에서 한번의 부정출발로 실격되자 현재의 ‘부정출발 단번 실격’(원스타트 아웃) 규정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도 거세지고 있다.
■ 왜 규정 엄격해졌나? 원래 트랙경기에선 한 선수가 두번 연속 부정출발했을 때 실격 처리됐다. 2003년부터는 첫번째 부정출발이 나오면 경고를 하고, 두번째 부정출발이 발생하면 해당 선수가 처음 반칙을 했더라도 실격이 됐다. 그러자 경고를 각오하고 예감에 맞춰 부정출발을 하거나, 상대 선수를 견제하기 위해 고의로 부정출발하는 선수들이 생겨났다. 스타트가 취약한 볼트는 2년 전 베를린대회 100m 준결승 때 이상할 정도로 빠르게 스타트를 해 고의 부정출발 의혹을 받기도 했다.
결국 국제육상연맹은 베를린대회 때 열린 총회에서 단 한번만 부정출발을 해도 곧바로 실격 처리하도록 규정을 고쳤다. 라민 디아크 국제육상연맹 회장은 규정 개정 당시 “옛날 규정대로라면 선수가 고의로 부정출발을 할 수 있다. 그 경우 우리는 어떤 처벌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대구대회는 강화된 규정이 적용된 첫 세계선수권이다.
|
우사인 볼트의 실격 상황
|
대구/김연기 기자 ykkim@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