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인 최승호씨가 단골로 가는 양재천변 카페 시엘에서 책을 읽고 있다.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
최재봉 기자의 그작가, 그 공간 ①최승호와 양재천변 카페 ‘시엘’
장식장속 시집 끌려 6년 단골‘고비’ 등 작품들 이곳서 집필
“여기선 마음 편해 고민 덜어” 새 연재물 ‘그 작가, 그 공간’이 격주로 연재를 시작한다. 작가들의 창작의 속살을 엿볼 수 있는 ‘그들만의 공간’을 찾아가려 한다. 글을 쓰는 작업 공간일 수도 있고, 치열한 생활의 공간일 수도 있으며, 휴식과 작품 구상을 위해 찾는 곳일 수도 있겠다. 어떤 성격의 공간이건 그곳은 작가들의 고유한 작품 세계에 접근하는 비밀을 간직하고 있는 곳이리라. 카페 시엘은 서울 서초구 양재천변 카페 거리에 있다. 실내에 여섯 개 테라스에 네 개의 탁자가 있고 정면의 바에 따로 일곱 개의 키 높은 의자가 놓인, 크지도 작지도 않은 규모에 화려하지도 촌스럽지도 않은 인테리어. 천변을 따라 십여 개의 카페가 들어선 이 동네에서 카페 시엘의 외관이 유난히 도드라지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하늘을 뜻하는 프랑스어(ciel)를 옥호로 삼은 이곳에는 다른 카페에는 없는 한 가지 특별함이 있다. 최승호 시인이라는 단골의 존재가 그것이다. 최승호 시인은 일주일에 사나흘은 이곳을 찾는다. 여기서 도보로 십 분 거리에 사는 그는 점심을 먹은 뒤 양재천변으로 산책을 나와서는 한동안 걷다가 카페 시엘로 온다. 창가 쪽에 자리를 잡고 에스프레소 커피 한 잔을 주문해 마시면서 그는 책을 읽고 글을 쓰거나 황갈색 노트에 메모를 한다. 종종 손님도 이곳에서 만난다. 그렇다. 카페 시엘은 최승호 시인에게는 작업실이요 응접실과도 같다. “집에 작은 서재가 있긴 하지만, 답답하기도 할뿐더러 일에 집중하기도 쉽지 않아서 이곳으로 나옵니다. 작가들이 작업실을 마련하는 걸 이해하겠어요. 아무래도 일상의 공간과 창작의 공간은 분리하는 게 지혜로운 것 같아요.” 그가 2007년에 낸 시집 <고비>와 <말놀이 동시집> 3권 자음편은 온전히 이곳에서 집필한 책들이다. 다른 책들 역시 전부는 아니더라도 상당 부분을 여기서 작업했다. 집에서 하는 일이라고는 백지에 만년필로 쓴 원고를 컴퓨터로 정리하는 정도가 전부라고.
“2006년 5월에 열흘 동안 고비 사막을 여행하고 왔어요. 현지에서 노트에 메모해 온 내용을 기반으로 그 뒤 여섯 달 반 정도를 이 카페에서 작업해 펴낸 것이 시집 <고비>입니다.” 시집 <고비>의 세계는 예컨대 이러하다. “만약 늑골들이 현이었다면, 그리고 등뼈가 활이었다면, 바람은 하나의 등뼈로 여러 개의 늑골들을 긁어대며 연주를 시작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적막이라는 청중으로 꽉 찬 사막에서 뼈들의 마찰음과 울림은 죽은 늑대의 뼈나 말의 뼈와 공명할 수도 있었을 것이며 적막이라는 청중의 마음을 깊이 긁어놓았을지도 모른다. 내가 생각하는 뼈의 음악은 그렇다. 아무런 악보도 없이 뼈를 뼈로 연주해 텅 빈 뼈들을 뒤흔든다. 청중으로는 적막이 제일이고 연주자로는 바람이 적합하다.”(<뼈의 음악> 전문) 사막은 바람과 적막이 지배하는 세계다. 사막에 들어가는 행위는 바로 그 적막으로 들어가는 일, 그러니까 ‘입적’(入寂)이다. 그런데, 바람 대신 진짜 음악이 흐르고 차량과 오토바이의 소음이 집중을 방해하는 세속 도시의 한가운데에서 적막의 시편들이 쓰이다니! “글에 몰입해 있으면 주위의 소음이 전혀 의식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막의 시라고 해서 반드시 사막 같은 공간에서 써야 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았어요. 오히려 거리를 두었기 때문에 객관화가 가능했던 것 같아요. 대상이 멀리 있고 희미할수록 상상력의 날개는 더 커지는 것을 경험했지요.” 사실 문인과 카페는 가깝다면 가까운 사이다. 사르트르의 단골이었던 파리의 카페 드 플로르와 되 마고, 헤밍웨이가 자주 드나들었다는 쿠바 아바나의 라 테라사의 경우에서 보듯 외국, 특히 구미의 문인들 사이에서는 카페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이 자연스러운 문화로 자리잡아 왔다. 그런데 우리 풍토에서 카페란 친구와 어울리는 교유의 공간이기 십상이다. 물론 최근 늘어난 북카페나 커피 전문점에서는 책을 읽거나 노트북으로 작업하는 이들을 보는 일이 드물지만은 않게 되었다. 그러나 최승호 시인과 카페 시엘의 사례처럼 문인이 특정 카페를 단골로 삼아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사장과는 가족처럼 친해져
“자리 기가 좋은지 작품 잘돼”
“재벌보다 시인 손님이 자랑”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