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2.03.28 18:27
수정 : 2012.03.28 18:27
[매거진 esc] 신 기장의 야간비행
하와이 비행은 언제나 즐겁다. 너무나 평화롭고 아름다운 곳이기 때문이다. 오늘따라 날씨는 구름 한 점 없이 맑고 눈부셨다. 카우아이 섬을 지날 때에는 울창한 밀림과 협곡까지 선명하게 보일 정도였다. 기상정보를 보니 호놀룰루 공항에는 바람이 꽤나 세게 불고 있는 것 같았다. 그러나 들뜬 마음 어디에도 그런 걱정이 자리할 곳은 없었고, 조종실 창문 밖 풍경은 나를 천공의 성을 날아다니는 천사로 만들어 버렸다. (거북하셨다면 죄송)
“야, 이거 끝내주는구나! 진주만 공습 때도 이렇게 날씨가 맑았다지?” 나는 생뚱맞은 이야기를 꺼냈다. “저기, 저~기 정도에 항공모함들이 진을 치고, 거기서 제로 전투기들이 출격한 것 아니겠어?” 나는 쉬지 않고 신나게 떠들어댔다. “지금 우리가 가는 코스가 아마도 그때 전투기들이 날아간 코스와 비슷할 거야. 오아후섬 북쪽에서 산을 끼고 우측으로 돌아 진주만으로 날아간 거지. 엄청난 숫자의 전투기들이 한꺼번에 미국 전투함들을 붐! 하고 박살 낸 거야!”
잠시 뒤 우리도 그때 일본 전투기처럼 진주만 남쪽 상공을 지나갔다. 멀리 전함 미주리호와 전쟁기념관이 선명하게 보였지만, 그저 별생각 없이 스쳐 지나갔다. 고도가 낮아지자 서서히 바람이 거칠어지기 시작했고, 이제는 비행이 아니라 승마가 돼 버렸다. 나는 안정된 비행경로를 유지하기 위해 조종간을 쉴새없이 움직였다. 그런데 활주로를 코앞에 두고 고도 100피트(30m) 정도에서 갑자기 비행기가 휘청거리며 왼쪽으로 크게 밀려나가는 것을 느꼈다. 마치 부처님이 손바닥 위에 손오공을 올려놓고 ‘훅’ 하고 바람을 분 것처럼, 호놀룰루의 하늘은 나를 활주로 멀리 날려보내려는 것 같았다.
“어이쿠!” 날개를 숙여 밀려나지 않도록 웅크려 버텼다. 더는 밀려나지 않게 되자, 이제는 활주로 중심을 향해 비행기를 다시 끌고 들어가야 했다. 착륙까지 시간은 불과 십여초밖에 남지 않았지만, 그렇다고 제로 전투기처럼 과격하게 기동할 수는 없다. 가능한 한 짧고 잘게 쪼개어 경로를 수정해나가야 한다. 50피트를 통과하면서 활주로 왼쪽을 타고 들어갔다. 언제든 위험하면 바로 복행(Go-around)할 수 있도록 추력레버를 손으로 꼭 쥐었다. 20피트, 10피트…. 비행기는 서서히 활주로 위로 제자리를 찾았고 부드럽게 중앙선 위에 바퀴가 닿았다.
도착 뒤 가만히 생각해봤다. 왜 하필 그때 거센 돌풍이 나를 밀쳤을까? 단지 고약한 우연이었을까? 그런데 서서히 마음이 아파왔다. 아름다운 하와이도 아직 지울 수 없는 상처가 남아있나 보다. 내가 제로 전투기를 입에 담으며 경거망동하니 미울밖에. 그래서 날 못 내리게 밀쳐버렸나 보다.
‘미안하다 진주만아! 내 다시 그러지 않을게.’ 더는 비행기가 사람 죽이고 폭탄 나르는 데 쓰이지 않았으면 좋겠다.
신지수 대한항공 A330 조종사·<나의 아름다운 비행> 저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