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2.27 19:21 수정 : 2013.02.27 19:21

[매거진 esc] 신 기장의 야간비행

집에 돌아오니, 아내가 내 팔을 잡아끌고는 분노에 찬 목소리로 낮에 겪은 이야기를 해주었다. 아내가 말하길, 은행 앞 달랑 하나 남은 주차구역에 후진으로 차를 넣으려는데, 뒤따라오던 차가 쏜살같이 달려와 그 자리에 전면으로 주차를 해버렸다는 것이다. 아내가 황당해서 “지금 그 자리에 제가 주차하고 있는데요?”라고 말하자, 차에서 내린 남자는 “내가 당신 마음을 어떻게 알아?”라고 말하고 가버렸단다. 좋은 자동차에 고급 옷을 차려입은 그 신사는 교수풍의 지적인 외모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정말로 외모만큼 지적인 분이시라면, 어디서도 그렇게 남의 마음을 몰라주실까?

대형 제트기는 기장, 부기장 두 명의 조종사가 같이 비행한다. 그중 한 사람이 비행기를 조종하는 동안 다른 사람은 그를 도와주며 감시하는데, 비행이란 것이 단지 비행기를 움직이는 것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사용환경을 적절하게 운용하고 통신도 하고 닥치는 상황마다 끊임없이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기에 두 명의 팀워크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다 보니 가끔 마음이 잘 맞는 부기장과 비행할 때는 그렇게 든든할 수 없다. 어떤 상황에서도 마음을 훤히 꿰뚫어보듯 서로 손발이 척척 맞기 때문이다. 반면에 어떤 부기장은 지나치게 나를 감시하고, 또 자신의 의도를 계속 설명하면서 비행한다. 나를 믿지 못하고, 내가 자기의 뜻을 모를까 걱정하기 때문이다. 너무한다 싶으면 결국 한마디 한다. “시어머니, 중계방송 그만하세요.”

비행 절차 중에 콜아웃(call-outs)이라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쇠돌이가 마징가제트에서 로켓 펀치를 날릴 때 “로켓 펀~치!”라고 소리치는 것과 같다. 즉, 어떤 상황을 인지했거나 기기를 조작할 때, 자신의 의도를 옆에 있는 사람이 알 수 있도록 소리 내어 말하는 것이다. 팀워크가 좋으면 서로 한몸이 된 것처럼 눈짓만으로도 달나라까지 날아갈 수 있지만, 그게 잘 안되니 많은 콜아웃을 만들어 억지로 호흡을 맞추고 소통을 시키는 것이다. 그래도 내 직업이 고마운 것은, 적어도 비행은 소통의 중요함을 뼈저리게 알고 있다는 것이다. 나의 잘못된 판단으로 비행기가 사고로 치닫는 순간, 마지막으로 내 승객을 구해줄 사람은 오직 마음으로 소통하는 내 부기장뿐이다.

요새 ‘소통’이란 말이 유행이다. 그런데 모두가 원하는 소통이란 그저 얼굴 바라보며 하고 싶은 말 하고 듣고 싶은 말 듣는 것이 전부는 아닐 것이다. 소통이란 서로의 마음을 읽으려고 노력하는 것에서 시작해야 한다. 눈앞에 후진하는 차가 주차를 하려는지 이륙을 하려는지도 모르는데 무슨 소통이 되겠는가?

신지수 대한항공 A330 조종사·<나의 아름다운 비행> 저자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신 기장의 야간비행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