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9.05 17:22 수정 : 2012.09.05 17:22

[매거진 esc] 임경선의 남자들

최소 3억 정도로 신혼살림을 시작하지 않으면 부부간 싸움이 잦아지고 삶이 초라해진다는 얘기를 들었지만 하나도 놀랍지 않았다. 미혼의 여자라면 한번쯤은 엄마로부터 들어봤을 그런 레퍼토리였다. 딸들 역시도 ‘그래도 사랑이 중요한 거 아니냐’, ‘사랑이 비즈니스냐’며 강하게 반발했을 터. 용감했던 그녀들은 꼭 그런 후 나에게 상담메일을 보내 ‘결혼은 사랑이냐 현실이냐’며 약한 모습을 보이곤 했지.

나 역시도 대외적인 기본입장은 ‘사랑’파이기에 “독립적이거나 자신의 행복에 대한 가치기준이 확고하지 못하다면 아무래도 ‘돈’에 영향을 받겠죠” 식으로 현실의 문제를 외면하지 않는 냉철함을 풍겨주되, “하지만 내 사랑은 남들과 다를 테니까” 같은 듣기 좋은 자부심을 교묘하게 던져주고 슬그머니 빠져나가곤 했다. 그러고는 뒷맛이 썩 개운치만은 않았다. 또다른 엄마 레퍼토리가 귓가에 맴돌았다. “사랑이라는 감정은 고작 3년이고 경제적 안정은 상상 이상으로 오래가. 부부는 경제공동체라고.”

‘로맨스도 필요하고 돈도 포기 못해’ 식으로 이것저것 다 원하다가 이것도 저것도 어정쩡하게 타협하는 식의 결혼과 그녀들이 그 후 펼치는 불평불만과 자기연민을 경멸하기는 쉽다. 그 모습을 참 많이 목격하며 나는 차라리 돈이든 사랑이든 자신이 원하는 것을 솔직히 인정할 줄 아는 여자가 시원시원하니 좋았다. 원하는 걸 정확히 알면 얻기가 더 쉽고 그러면 나름대로 만족하고 살 테니까.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 원하는 것이 바뀌기도 했다.

대개 바뀌는 쪽은 ‘사랑’을 택했던 여자들이었다. 돈을 선택한 여자들이 자신이 놓친 사랑을 뒤늦게 갈구하는 경우는 별로 못 봤다. 반면 사랑에 모든 걸 던진 여자들은 살아보니 사랑이 다는 아니더라, 남자가 착하고 성실하고 나만 사랑해주는 게 다가 아니더라, 아니 남자가 조금이라도 덜 착하고 덜 성실해지고 나를 덜 사랑하게 되면 억울해지기 시작했다. 결혼 전에 비해 삶의 수준이 떨어진 것을 언제까지 사랑이라는 감정으로 묵인할 수 있을까? 사람들은 사랑이 없어서 갈라서기보다 사랑이 식어서 갈라서는 것이다.

역시나 현실의 문제는 무겁고 감정은 사사로움인가? 막말로 역시 돈이냐, 응? 다시 말하지만 대외적으로 ‘사랑’파인 나는 이 지점을 인정하기가 참 고깝다. 깊이 고민할수록 돈이냐 사랑이냐의 이분법도 부질없거나 애매했다. 하여 자체적으로 이렇게 정리하기로 했다. ‘사랑’파들에겐 마음이 서글퍼지고 초라해지고 두려워지는 이 문제는 차라리 ‘가치관’의 문제라기보다 ‘성향’의 문제라고. 즉 똑같이 ‘사랑’을 택해도 폭풍우처럼 휘몰아친 사랑에 플러스의 정점을 찍어봤다면 그 폭발력만큼이나 역으로 실망감의 마이너스 정점으로 곤두박질하기 쉽지 않을까. 넘쳐흐르는 에너지의 문제라면, 그 에너지가 이젠 그 남자가 아닌 자신에게 향하게 하면 될 노릇. 남자는 당신을 사랑한 것 말고는 아무 죄 없다.

임경선 칼럼니스트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임경선의 남자들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