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2.20 17:43 수정 : 2013.02.20 17:43

[매거진 esc] 임경선의 남자들

남녀 사이란 화성과 금성의 거리만큼 원래 말이 안 통하는 사이라고는 했다지만, 나만 해도 좋아하는 남자와 같이 있으면서도 참 즐겁지가 못했던 시기가 있었다. ‘이 남자 너무 좋아하나 봐’라는 울렁거림 하나로 지탱하며 하고 싶은 말도 제대로 못했으니 즐거울 리가 없었지만 좋은 게 죄인지라 그 정도의 ‘즐겁지 않음’은 당연한 걸로 감수했다. 그 이상을 바라면 죄가 되고 그 남자가 떠날까 봐 무서워서.

뒤늦게 대화가 너무 즐거운 남자와도 연애할 수 있음을 알았다. 할 말이 끝없이 넘치고 내가 하는 말이 무엇 하나 비껴가지 않고 상대에게 쫙쫙 흡수되는 그 시원한 분출의 느낌. 왜 전 남자들은 말이 엇나가고 오해도 하고 일부는 아예 흘려들었을까? 즐겁지 않은 것을 즐겁지 않다고 알아차리면서 나는 눈을 조금씩 떠갔다. 대화와 소통의 쾌감이 없으면 관계도 오래 못 갔다. 본래 언어능력은 섹스능력과 통하는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다가 대화가 단순히 시원시원 잘 통하기만 하는 것도 싱거워지기 시작했다. 물론 자기 속내를 말하면 자신의 약한 모습이 드러날까 겁내는 그런 남자들을 만나다 보면 이런 솔직하고 따뜻한 시원시원함이 감사하지만, 내 욕심이 너무 간사해서인지 남녀간의 소통에는 말 그대로, 뭐라 형언할 수 없는 은밀하고 모호한 ‘불통’의 요소도 적절히 섞이길 바랐다. 안심하고 그 무슨 말이라도 상대에게 할 수 있는 관계는 근사하지만 조금이라도 상대방이 무슨 생각일까 상상하는 그 틈 사이로 에로스가 흐를 것만 같아서. 에휴.

하지만 급기야는 그런 것도 다 필요 없게 되었다. 남자의 대화력이 어떻든 어느덧 내가 남자와 제법 대화를 잘하는 여자가 되어버렸기 때문이다. 그 말인즉슨 밑밥을 깔아놓은 건 나인데 대부분의 상대 남자들은 나와 말이 잘 통한다고 착각했던 것이다. 내 꾀에 내가 넘어갈 때도 많다. 그럴 때 유일하게 내게 허락되는 판단 기준은 남자들이 끔찍이도 싫어하는 바로 그 질문을 던지는 것이었다.

“나의 어디가 좋아?”

그 질문에 대한 답이 그가 나와 ‘통’했는지를 알려주었다. “너 아니면 안 돼”라고 매달리던 남자에게 그 질문을 했을 때 가령 그가 “네가 예뻐서”라고 대답했다면 나보다 더 예쁜 여자가 나타나면 ‘내가 아니어도 될 수’ 있다. 세상의 연인관계에선 의외로 ‘굳이 너 아니어도 되지만, 일단은 지금 내 앞에 네가 있으니깐’ 같은 ‘와이 낫?’적인 관계가 널리고 널렸다. 그리고 좋아하는 사람에게 내가 언젠가는 대체 가능할 수 있다는 가능성만큼 슬픈 일은 없다. 게다가 어떤 이유들은 ‘넌 대체 나의 뭘 보고 있던 거야’ 싶어 실망스럽기조차 하다. 그럼에도 아주 가끔 상대의 ‘난 너의 이런 점이 좋아’가 내 마음 정중앙 과녁에 화살처럼 박혀버릴 때가 있다. 있는 그대로의 나를 깊이 지켜봤음을 시사하는 그 ‘좋은 이유’가 나는 그 어떤 다른 여자로도 대체 불가능함을 말해주었기 때문이다.

임경선 칼럼니스트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임경선의 남자들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