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재벌의 나라 ② 재벌, 청년실업을 부른다
재벌은 국외 투자·채용 늘리고 ‘고용 8할’ 중기는 점점 몰락
대기업-중소기업 순이익률 격차 3배 이상 벌어져삼성전자 “국외 투자는 국내 고용과 관련없다”
전경련은 ‘규제완화’ 선물받고 신규채용 ‘뻥튀기’ 삼성·엘지·현대차·에스케이 4대 그룹의 매출액(2010년 제조업 기준)은 463조원에 이른다. 4년 전인 2007년 말보다 63% 급증했다. 금융위기 여파에도 전체 상장사 평균 매출증가율(44%)을 크게 웃도는 성장을 한 것이다. 사업 확대와 인수합병으로 덩치가 커진 만큼 일자리도 많이 늘었을까? 4대 그룹의 지난해 말 임직원 수는 50만4000명이다. 4년 전보다 5만8854명, 13.2% 늘었다. 매출 신장세에 견줘 5분의 1 수준이다. 그룹별로는, 삼성이 7.8%, 현대차가 12.3%, 엘지가 33.7% 증가했다. 에스케이는 6.2% 줄었다. 재벌 그룹의 매출이 아무리 늘어도 고용은 좀체 늘지 않는다는 ‘고용 없는 성장’의 좋은 사례다. 재벌 그룹의 비대화는 오히려 고용의 80% 이상을 책임지는 중소기업의 입지를 좁히면서 청년실업과 양극화를 부채질하기도 한다. 4대 그룹이 국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부가가치 기준으로 20% 안팎에 이른다. 그러나 고용의 규모는 전체 2424만4000명의 2.1%에 불과하다. 4대 그룹이 신규로 만들어내는 일자리도 100명 중 5.9명에 그친다. 4대 그룹의 경제력은 급속히 커지고 있지만 그에 상응하는 고용 창출 효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참여정부 출범 이듬해인 2004년 5월, 노무현 대통령과 주요 그룹 총수들이 청와대에서 만났다. 노 대통령이 “지배구조의 투명성은 세계적 추세이고 국민의 뜻”이라며 ‘시장개혁 3년 계획’을 발표한 직후였다. 총수들은 회동에 앞서 연초보다 크게 늘린 투자와 고용 계획을 앞다퉈 발표했다. 이때부터 재벌 그룹들이 해마다 대규모 투자·고용 계획을 내놓고 전경련이 이를 취합해 발표하는 관행이 굳어졌다. 대통령과 재벌 총수와의 만남이 이뤄질 때마다 총수들이 투자와 고용 확대를 ‘선물’하는 모습도 재연됐다. 전경련은 지난해에도 30대 그룹의 신규채용이 12만4000명, 투자규모는 114조8000억원에 이른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런 발표를 곧이곧대로 믿는 이들은 없다. 전경련이 발표한 연간 고용규모는 우리나라 전체 연간 신규 취업자 수의 25~30%에 이른다. 실제 채용 규모는 발표된 수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게 현실이다. 투자 활성화를 명분으로 권력이 재벌과 손을 잡는 명분만 제공했을 뿐이다.
|
수출·투자·고용 확대를 위한 대기업 간담회가 열린 지난해 1월24일 케이티 서울 여의도 사옥에서 간담회를 시작하기 전 이명박 대통령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은 왼쪽부터 코오롱 이웅렬 회장, 대림 이준용 회장, 두산 박용현 회장, 현대중공업 민계식 회장, 에스케이 최태원 회장, 삼성 이건희 회장, 이 대통령, 현대자동차 정몽구 회장, 엘지 구본무 회장, 금호아시아나 박삼구 회장, 에스티엑스 이희범 회장, 동부 김준기 회장, 동양 현재현 회장. 청와대사진기자단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