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준하 선생의 추락을 본 목격자는 단 한 명, 김용환씨다. ‘실족사’라는 장 선생의 공식 사인은 그의 증언에 기대 있다. 1975년 장준하 선생이 숨진 채 발견된 경기 포천 약사봉의 계곡에서 장 선생과 함께한 동지와 후배들이 돌비석을 세우고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장준하 기념사업회 제공
|
[토요판/커버스토리] ‘목격자’ 자처하는 김용환씨 인터뷰
정부가 두번이나 조사했는데보통 조사를 했겠어요?
그런데 또 한다면 정당한가
날 짓밟는 거밖에 안돼 같은 말도 두번 하면 다르잖아
그런 걸 자꾸 말바꾸기래
언론에 다 얘기하면 속시원해도
이상하게 악용하니 말 못해 “새로운 증거? 있을 수가 없어요. 왜 죄 없는 사람을 몹니까? 나는 당당한 사람이여.” 밀짚모자 쓰고 농약통 멘 노인은 댓바람에 화부터 냈다. “난 피해자여. 그것 때문에 맨날 방황하고 그랬어요. 그러니까 자꾸 건드리지 말라는 거여.” 완고한 표정의 노인은 질문 하나 던질 겨를도 주지 않았다. “선생님하고 저는 한마음으로, 함께 움직이고 그랬어요. 뭐가(타살 의혹) 없어요. 있을 수가 없어요.” 노인은 ‘장준하 의문사 사건’의 진실을 손에 쥔 김용환(77)씨다. 의문점에 대한 물음은 거칠게 거부 그는 장준하 선생의 죽음 한가운데 서 있었다. 추락 시뮬레이션 등 의문사위의 여러 조사는 ‘실족 추락사’의 가능성이 낮다고 가리키지만, 이런 시나리오는 모두 ‘목격자 김용환’의 증언을 맞닥뜨리고 깨진다. 지난달 16일과 지난 19일 두 차례 충남 당진의 한 시골마을에 사는 그를 만났다. 의문점에 대한 물음 자체를 거칠게 거부하는 탓에 인터뷰라기보다는 그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들을 수밖에 없었다. 김씨는 사건 뒤 고향의 한 고교에서 1999년 2월 정년퇴임할 때까지 교편을 잡았다. 지금은 2005년 예전 집 위에 새로 양옥을 짓고 농사일을 하며 부인과 함께 지내고 있다. 무엇보다 김씨는 자신이 ‘목격자’가 아니라 ‘피의자’로 취급받는다고 확신했다. “내가 선생님하고 옆에 이렇게 서 있었는데 내가 죽였다고 하면 돼? 난 그렇게 비정상적인 사람이 아녀, 정신병자도 아녀, 난 술도 안 먹는다고.” 여전히 그는 1975년 경기도 포천 약사봉에서 일어난 장준하 선생 추락사건에 대해 ‘슬픈 목격자’라고 주장하고 있었다. 국가기관과 언론에 당한 ‘피해자’라고도 했다. “내가 지금 수염도 못 깎고 이러고 있어요. 내가 뭐 죄인이오? 결국은 나를 짓밟는 거밖에 안 돼. 내가 죄가 있으면 벌써 밝혀졌지.” 김씨는 특별법을 만들어 사건을 재조사하려는 움직임에도 강한 불쾌감을 드러냈다. “벌써 두 번이나 특별법 적용했잖아요. 세 번 한다는 건 아마 역사상 없을 거예요. 그게 정당한 겁니까? 정치·사회 모든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아요. 간단한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 문제’가 깔려 있기 때문에 정치·사회 모든 면에 직접 영향을 준다는 거야. 그래서 얘기를 못 해.” 그러나 정치적 문제가 정확히 무엇인지 더는 말이 없었고 자신의 결백을 줄곧 강조했다. “국가기관이 두 번이나 조사를 했는데 보통 조사를 했겠어요? 그냥 지나갔겠어요? 그런데도 밝힐 수 없다는 건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생각을 해보세요. ‘진상규명 불능’이라고 나왔는데 그게 무슨 뜻이라고 생각하세요? 내가 그런 죄를 지었을지도 모른다, 그 전 정권에서 그런 짓을 했을지도 모른다, 이 두 가지를 놓고 하는 거 아녀?” 기자들에 대한 불신, 끊임없이 쏟아낸 말
|
장준하 선생 추락사의 ‘유일한 목격자’ 김용환씨는 충남 당진의 한 시골마을에서 살고 있다. 두 차례 인터뷰를 했으나 오락가락한 진술 등에 대해 명쾌한 해명을 듣지 못했다. 전진식 기자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