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 산내사건의 2차 학살 시기인 1950년 7월3~5일 골령골에선 1800명의 대전형무소 재소자와 보도연맹원들이 군경에 의해 총살당했다. 미국 국립문서보관소
|
[토요판] 커버스토리 / 두 사진과 산내학살 유족 문양자
산내학살, 유해는…
대전 산내학살사건은 1992년 2월 월간 <말>을 통해 처음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학살 과정에 가담했던 경찰 관계자의 고백이 담긴 기사였다. 이어 1999년 12월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의 관련 문서가 공개되고 2000년 이후 관련 시민단체들이 꾸준히 이를 문제제기하면서 공론화됐다. 2005년 출범한 국가기관인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진실화해위)는 그러나 극히 일부의 유해만 발굴했을 뿐, 진실화해위 활동이 종료된 2010년 이후 국가 공권력에 의해 학살된 민간인 유해발굴 작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정부는 현재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을 통해 국군 전사자 유해만 발굴하고 있다.
진실화해위에서 극히 일부만 발굴2010년 이후 정부 차원에선 중단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 통해
국군 전사자 것만 발굴하는 중 정부 무관심 속에 유해 계속 유실
골령골 유해매장 추정지 중 한 곳은
땅주인에 의해 밭으로 개간돼버려
구청에선 사유지 관여 못한단 입장
|
한국전쟁기 민간인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 지난 2월 대전 동구 낭월동 산내사건 희생자 유해 매장지에서 발굴조사를 벌이고 있다. 유골들이 이리저리 얽히고설켜 온전한 형태로 발굴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대전/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
|
민간인 학살 유해 매장 현황 (한국전쟁 전후)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