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진의 시네마 즉설
위플래쉬
요즘 <위플래쉬>가 화제다. 오랜만에 광역 배급과 블록버스터급 마케팅 돈질을 하지 않고도 관객 입소문에 기댄 완성도의 힘으로 흥행하는 영화를 보게 돼 호감이 간다. 지난주 칼럼에서 조원희 감독은 흥미롭게도 음악 영화의 탈을 쓴 무협 영화라는 관점에서 이 영화를 평했다. 그의 말은 파격적으로 보이는 이 영화가 장르 이야기 문법에 충실하고 드럼이라는 악기 특징을 영리하게 살린 대중영화라는 말이다.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영화를 가르치는 필자는 그의 평 외에 뭔가 덧붙일 말이 있어 다시 펜을 들게 되었다. <위플래쉬>의 악마 같은 선생 플레처는 야심찬 제자 앤드루 니먼을 사납게 몰아붙인다. 그가 제일 혐오하는 말은 ‘잘했어’라는 칭찬이다. 그는 니먼을 집요하게 공격해 니먼의 몸과 마음을 너덜너덜하게 만드는데 이게 과연 납득할 만한 교육술인가 의문이 들었다.
<위플래쉬>는 휘몰아치는 클라이맥스의 감동을 통해 청출어람 결말을 내린다. 박력있는 영화의 완성도와는 별개로 스승 플레처의 영화적으로 매력적인 캐릭터는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는 모습인가 헷갈린다. 이 영화에 관한 영화 주간지 <씨네21> 기고문에서 재즈 평론가 황덕호는 ‘예술가와 리더는 어느 정도 악마가 될 수 있는 것인가’라는 문제를 제기하는데 나는 그의 글의 마지막 문장이 흥미로웠다. ‘앤드루 니먼은 플레처와 다른 유형의 밴드 리더가 될 수 있을까?’라고 그는 질문한다. 플레처 교수의 스승상에 혼란을 느낀다는 점에서 나도 황덕호와 비슷한 입장이다.
|
김영진 영화평론가·명지대 교수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