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진의 시네마 즉설
화장
몇 년 전 영상자료원에서 임권택 감독 회고전을 할 때 그동안 보지 못했던 임권택 감독의 영화들을 몰아 볼 기회가 있었다. 소설가나 화가가 자기 작품과 맺는 관계가 그러하듯이 집단예술인 영화의 경우도 영화의 작가는 영화감독이라고 주장한 작가주의 비평가들이 아주 오래전에 주장한 극언 중에 작가의 실패작은 장인의 걸작보다 낫다는 말이 있다. 임권택 감독의 범작을 보며 그 말을 실감할 수 있었다. 1980년대 초에 임권택이 만든 영화들 중에 <오염된 자식들>이란 작품이 있다. 안성기, 방희 등이 주연한 영화로 가난한 월급쟁이 남자사원이 불구의 사장 딸과 정략결혼한 뒤에 도덕적으로 타락하는 모습을 담은 내용이다. 적당히 노출 장면도 집어넣고 전형적인 전개로 이어지는 영화는 임권택 감독 특유의 매몰찬 묘사가 군데군데 압권이었다. 특히 마지막 장면, 뒤늦게 자신의 과오를 뉘우친 주인공에게 어떤 구원의 가능성도 주지 않고 야멸차게 끝내버리는 결말이 망치로 얻어맞은 기분이 들게 했다.
나는 임권택 감독이 자신의 영화 속 인물과 맺는 그 적절한 거리감이 늘 좋았다. 가차 없이 냉정한 듯이 보이지만 실은 인간이기 때문에 그럴 수 있다는 관용도 충분히 의식하고 있는 미묘한 거리감이다. 신작 <화장>에서도 비슷한 감흥을, 보다 깊어진 연륜의 깊이를 느낄 수 있었다. 사회적으로 잘나가는 화장품 회사의 상무가 자기 부서에 입사한 경력사원인 젊은 여자에게 정념 비슷한 걸 느끼는 줄거리와 그가 병간호하는 죽어가는 아내의 육체에서 일어나는 일을 묘사하는 이 영화는 인간이 얼마나 약해질 수 있는가, 동시에 그걸 수습할 수 있는가를 담은 담백한 증거들의 채집물 같다.
|
김영진 명지대 교수, 영화평론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