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수 만화가 드문 한국에서 무협 만화 〈열혈강호〉는 잡지 연재 18년을 넘겼다. 만화가 양재현(오른쪽)씨와 스토리작가 전극진씨의 오랜 콤비 작업은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다. 찰떡궁합으로 독자를 사로잡아온 두 사람이지만 실제 작업을 할 때는 서로 치열하게 싸우기 일쑤라고 한다. 류우종 기자 wjryu@hani.co.kr
|
[우리는 짝]
한국 최장수 연재만화 ‘열혈강호’
만화가 양재현-스토리작가 전극진
오기와 취기로 만든 게 벌써 18년 최장수 만화무협에 섹시·코믹함 버무려 성인 눈길 사로잡아
“완결은 언제 나오냐고요? 독자가 결정하겠죠” 1994년 4월 초, 서울 종로의 한 술집에선 두 남자의 이야기가 그칠 줄을 몰랐다. 스물네 살 신출내기 만화가 양재현과 역시 신예 스토리작가였던 스물여섯 청년 전극진은 그날 아무리 술을 마셔도 취하지 않았다. 애니메이션 동아리에서 만나 형 동생이 된 두 사람은 정성껏 만든 만화를 들고 출판사에 다녀온 길이었다. 작품을 본 출판사에선 곧 창간하는 성인 만화 잡지에 연재를 하자고 제안했다. 당시 만화 시장에선 무협도, 에스에프도, 판타지도 인기가 없었는데 둘의 만화는 하필이면 이 세 가지를 모두 섞은 것이었다. 만화잡지 중에서 ‘주류’인 청소년 잡지가 아니라 독자가 적은 성인 만화지에, 그것도 자리 잡은 기존 잡지가 아니라 창간하는 잡지에 연재하라는 것은 만화가에겐 ‘좌천’ 같은 일이었다. 양재현은 그 자리에서 ‘선언’을 하듯 외쳤다. “알겠습니다. 저희가 드린 원고는 없애버리세요. 출판사 쪽에서 원하는 모든 조건을 다 집어넣어서 새 만화를 만들어 올 겁니다.” 58권째 내며 500만부 넘게 판매
게임·영화·드라마에 외국 수출도 ■ 하룻밤 사이에 완성된 플롯-한국 최장수 만화를 탄생시키다 바로 그날 새 만화를 구상하자며 시작한 술자리는 한없이 계속됐다. 가슴에선 오기가 치솟고, 머리에선 새 이야기가 쏟아져나와 취기를 느낄 틈이 없었다. 한 명이 아이디어를 내면 다른 한 명이 이어 받아 탁구공을 주고받듯 대화가 오가면서 이야기에는 뼈대가 짜이고 살이 붙었다. 두 사람이 술집을 나선 것은 다음날 새벽 4시. 둘의 머릿속에는 한 편의 만화 플롯이 완성되어 있었다. 코믹하면서도 섹시한 무협 만화, 그림은 한껏 폼나면서도 내용은 가볍고 상큼한 만화, 그 만화가 한 달 뒤 새 성인만화 잡지 <영 챔프>에서 연재를 시작한 <열혈강호>였다. 그때만 해도 두 사람은 몰랐다. 자신들이 이 만화를 얼마나 오래 그리게 될 것인지. 1990년대 초중반은 한국 만화의 최전성기였고, 치열한 경쟁 탓에 인기가 없으면 바로 연재에서 빠지기 일쑤여서 연재 6개월을 넘기기가 쉽지 않았다. <열혈강호>는 첫 회에 바로 독자 투표 1위를 차지하더니, 다음호에도, 그리고 첫해 내내, 그 다음해에도 1위를 놓치지 않았다. 초기 성인 만화였던 <열혈강호>는 잡지가 청소년용으로 바뀌면서 청소년 만화로 변했지만 인기는 변함이 없었다. 그리고 무려 18년이 지난 지금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양재현(42)·전극진(44) 콤비의 <열혈강호>는 ‘기록적인 만화’다. 현재 58권까지 나온 이 만화는 한국 만화 판매 집계 이래 가장 많이 팔린 ‘잡지 연재 만화’(코믹스·500만부 이상)이고, 일본·타이·인도네시아·베트남·중국으로 수출되었으며, 온라인 게임으로 여러 버전이 만들어진 것은 물론이고 영화와 드라마 판권도 팔렸다. 90년대 이후 가장 성공한 한국 만화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보다 더 놀라운 것은 이 만화의 꾸준함이다. 극화 만화 사상 최장수 잡지 연재만화라는 타이틀처럼 자랑스런 수식어도 없을 것이다.
|
〈열혈강호〉의 남자주인공 한비광(왼쪽)과 여자주인공 담화린. ⓒ전극진·양재현/대원씨아이
|
폼만 잡고 쓴것 코믹하게 해석 잘해
말은 썰렁한데 그림은 너무 재밌어 양재현이 말하는 전극진
마감 늦지만 이야기 구성 내공 대단
원고 읽다보면 마치 내가 쓴 것 같아 ■ 원수처럼 처절하게 싸우는 황금 콤비 <열혈강호>는 두 사람을 가장 성공한 만화가와 스토리작가로 만들어줬다. 대본소와 잡지 만화를 병행하던 선배 만화가 세대들, 그리고 요즘 후배 웹툰 작가들 사이에 ‘낀 세대’를 대표하는 중진이 됐다. 하지만 <열혈강호>의 두 주인공 한비광과 담화린은 결코 늙지 않으며 변함없이 독자들과 만나고 있다. “만화 시작한 이래로 쉬어 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 아쉬워요. 저한테는 젊은 시절의 추억 같은 것들이 없거든요.” 양씨는 <열혈강호>가 “자식이나 다름없다”고 말한다. 최장수 만화를 만들어낸 콤비지만 실은 다시는 안 볼 사람들처럼 거의 매번 싸우기 일쑤라고 한다. “제가 원고를 늦어도 아주 늦게 보내주거든요.” 스토리작가 전씨가 먼저 이실직고를 하자 가차없이 만화가 양씨의 성토가 시작됐다. “다른 작가라면 작품을 그릴 수 없을 정도로 늦게 보내요. 거기에 형은 여러 작품을 하니까 아이디어가 분산되고, 저는 하나만 하니까 하나에 다 쏟아붓고 싶고. 그래서 자주 싸웠어요.”(양) 그런데도 찰떡궁합인 것은 섬세하고 집요한 만화가와 차분하고 이해심 많은 스토리작가의 성향이 서로 보완을 해주는 덕분이다. 더 중요한 것은 두 사람의 작업이 물리적 역할 분담으로 글과 그림을 합치는 것이 아니라 화학적으로 섞여 하나가 되는 방식이란 점이다. 전씨는 시나리오 형태로 글을 쓴다. 양씨는 글을 그대로 그림으로 바꾸는 게 아니라 영화감독처럼 자기 생각을 더하고 수정해 완성한다. 마감에 대해선 서로 질타하기 바빴던 두 사람은 일에 관해서는 서로를 칭찬하기 바빴다. “형이 쓴 원고를 읽고 있으면 제가 쓴 것 같아요. 제가 쓰고 싶은 것을 써 준 느낌? 마감은 늦지만 이야기 만드는 내공은 대단해요. 이야기가 매끄러운 정도로는 안되요. 재미가 있어야죠. 그걸 해내는 사람이예요.”(양) “사실 저는 폼만 잡는 걸 썼는데 재현이가 코믹한 것으로 해석을 잘해서 <열혈강호>가 탄생했어요. 재현이가 말은 썰렁하게 하는데 그림은 재미있게 그리거든요. 저는 간략하게 쓰고 넘어가는 부분을 재현이가 늘린 것을 보면 제가 봐도 재미있어요.”(전)
|
〈열혈강호〉의 남자주인공 한비광(왼쪽)과 여자주인공 담화린. ⓒ전극진·양재현/대원씨아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