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화천 하남면 거례리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 수달 한 마리가 물고기를 잡은 뒤 가슴에 품은 채 헤엄을 치고 있다. 화천/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토요판] 생명/ 수달의 조국은 하나다?
녀석들은 철책을 뚫고 월북을 시도할까
▶최고급 모피 감으로 알려진 수달은 역사적으로 수난을 겪었다. 사람 눈에 잘 띄지 않는 것도 이런 인간과의 적대관계에 따른 유전자가 형성된 결과다. 고려시대 때 몽골이 수달 가죽 2만장을 요구해 겨우 1000개 정도를 구해 보냈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18~19세기 모피산업이 발달하면서 전세계에 흔했던 수달은 멸종위기에 빠진다. 드넓은 캐나다 북극권이 개척된 이유도 사실 배를 타고 오지의 수달 세계를 탐험했기 때문이다. 반면 한국에선 급속한 도시화로 자연하천이 사라지면서 멸종위기에 빠졌다.
강원도 화천군 거례리의 한국수달연구센터. 이곳은 동물원이 아니다. 전국에서 구조된 수달들이 이곳으로 모인다. 고라니는 차에 치여, 박새는 창문에 부딪혀 동물보호소로 가지만, 수달은 한여름 어미를 잃고 이곳에 실려 온다. 한성용 한국수달연구센터 소장의 말이다.
“홍수 때 강물이 불어나면 수달의 강가 보금자리가 물에 잠깁니다. 수달들은 피난을 가는데, 종종 어미가 새끼를 놓치곤 해요.”
“새끼들은 헤엄을 못 치나요?”
“갓 태어난 수달은 보름 동안 시력이 완성이 안 돼요. 석달 동안 어미젖만 먹고 자라고요. 급류를 헤엄칠 능력이 없죠. 새끼 때 부모와 헤어지면 바로 죽는다는 얘기입니다.”
지난달 27일 오후 연못에서 헤엄치던 수달 남매도 지난해 장마 때 전남 해남에서 주민들에게 발견돼 이곳으로 옮겨졌다. 어미는 어딘가로 가버렸고 새끼들만 남아 있었다고 한다. 수달 남매는 낮인데도 연못에 나와 놀기 시작했다. 연구원들이 풀어준 메기를 쫓다가 땅 위에 올라가선 여우처럼 뛰어다녔다.
|
강원도 화천 하남면 거례리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 수달 한 마리가 뭍을 박차고 배를 하늘로 한 채 헤엄치고 있다. 화천/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수달들의 자유 여행
헤엄쳐서 갈 수 없는 곳은
제주·울릉도 정도로 알려져
그럼 북한엔 갈 수 있나
수달연구센터 2007년 방사땐
배설물 보고 ‘가능성 있음’
이달 오작교에 방사하면
위치추적으로 확인 가능해져 수달은 야간에 운행하는 날쌘 수륙양용 자동차와 비슷하다. 낮에는 강가의 나무뿌리 밑이나 바위 틈새 등에 숨었다가 밤에 나타나 강물을 휘저으며 물고기를 잡는다. 수달이 산다는 것은 강에 물고기가 많다는 것이다. 물고기의 먹이인 식물성플랑크톤과 수서곤충 그리고 양서류, 어류를 거쳐 최상위 포식자인 수달까지 안정적인 먹이 피라미드가 구축됐음을 뜻한다. 최근 들어 대도시 주변 하천에서도 종종 수달 목격담이 전해진다. 2000년대 초반 전북 전주시 전주천에서 수달이 발견돼 화제를 부른 이래 최근엔 대구 신천과 금호강, 광주 광주천 등에도 서식 사실이 보고됐다. 멸종위기에 처한 수달(멸종위기종 1급, 천연기념물 330호)이 다시 많아진 걸까? 한 소장은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수달은 전형적인 선형 서식 특성을 보여요. 즉 강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기 때문에 많아 보이는 것뿐이에요. 따라서 여러 사람이 봤다고 하더라도 똑같은 수달이었을 거예요.” 이를테면 전주시 한가운데를 가로지르는 전주천에 사는 수달은 3~5마리밖에 안 된다. 내 땅 남의 땅 구분이 명확하고 강을 따라 10㎞ 안팎의 영역을 활발하게 움직이기 때문에 많아 보이는 것뿐이다. 오히려 하천 개발로 수달의 절대적 서식공간은 줄어들었다. 수달은 육지와 강물을 수시로 드나드는 특성상 나무와 수풀, 암반이 어우러진 자연형 하천을 좋아한다. 서울의 한강처럼 둔치가 정비됐거나 둔치와 강물에 고도차가 있을 경우 수달이 살기 힘들다. 강 둔치를 획일적으로 정비한 4대강 사업도 수달에게 적지 않은 생태적 충격을 입혔으리라는 분석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8년 전국(육상) 수달조사에서 574개 지점에서 수달 서식을 확인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단편화된 수계별로 소수의 개체가 넓게 분포하고 있다. 각 무리의 크기가 매우 작고 고립돼 있다”고 밝혔다.
|
강원도 화천 하남면 거례리 한국수달연구센터에서 수달 한 마리가 물 밖으로 나오고 있다. 화천/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