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 서산 천수만의 간월호에서 가창오리떼가 날고 있다. 해질녘이 되면 수만마리가 떼지어 비상하면서 다양한 모양을 연출한다. 낮 동안 호수에서 쉬다가 한밤중 사람이 없는 농경지로 낙곡을 주워 먹으러 가는 행렬이다. 서산/김진수 기자 jsk@hani.co.kr
|
[토요판] 생명
천수만 철새 실종사건
“가창오리의 행방을 찾습니다. 20여만마리의 가창오리가 올해에는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소식을 아시는 분께서 연락주세요.”
11월30일 탐조가인 김신환 서산태안환경운동연합 의장은 페이스북에 ‘가창오리를 찾는다’는 글을 올렸다. 도대체 무슨 일이 생긴 걸까? 벌써 한 달이 지났다. 가창오리는 10월 말이면 천수만에 도착했어야 했다. 맷돌만한 망원렌즈를 들고 천수만에 갔지만 매번 헛수고였다.
가창오리는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이다. 특히 수만마리가 한꺼번에 군무를 벌일 때에는 검은 연기가 하늘을 휘젓는 것처럼 장관을 연출한다. 악마의 혼령이 춤추는 듯한 해질녘의 이 장관은 영국 비비시(BBC)의 다큐멘터리 <살아있는 지구>에서도 유일하게 소개된 국내 장면이다.
가창오리는 러시아 북동부의 바이칼호수, 레나강, 아무르와 오호츠크 해안에서 여름을 난다. 전세계 개체수가 최대 60만마리로 추정되는데, 모두 한반도에서 겨울을 난다. 한반도에선 흔한 새이지만, 세계적으론 귀한 새라는 의미다.
4~5월께 태어난 새끼가 비행 능력을 익히면 가창오리는 시베리아 추위를 피해 남쪽으로 여행을 떠난다. 그때 처음 들러 머무는 곳이 충남 서산 천수만이다. 한꺼번에 가장 많은 가창오리를 볼 수 있는 세계 최대 월동지다. 김신환 의장은 17일 “많을 때는 20만마리가 천수만을 덮는다. 한 달 정도 머물다가 남쪽으로 간다”고 말했다.
천수만를 비롯해 삽교호, 남양호 등에 머물던 가창오리는 보통 11월 말~12월 초 남쪽인 충남 서천과 전북 군산의 금강하굿둑 주변으로 터전을 옮긴다. 조금 더 남쪽으로는 전북 고창의 동림저수지, 전남 영암의 영암호, 해남의 고천암호, 경남 창원 주남저수지에서 1~2월까지 머무르다가 시베리아로 돌아간다.
과연 가창오리는 한반도에 오지 않은 걸까? 어딘가에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김 의장은 금강을 모니터링하는 주용기 전북대 전임연구원과 함께 ‘비상연락망’을 가동했다. 12월2일 뜻밖의 소식이 남쪽에서 날아왔다. 전남 해남에 사는 이정식(해남고 교사)씨였다.
“영암호에 벌써 와 있어요. 20만마리는 되는 것 같은데요.”
천수만, 시화호에는 가창오리가 없고 삽교호에 2만마리 있는 게 전부였다. 남쪽인 새만금에는 300마리, 주남저수지에는 500마리가 머무르고 있었다. 대부분 가창오리는 서해안을 거치지 않고 바로 ‘직행’한 것으로 보였다. 김 의장과 주 연구원은 가슴을 쓸어내렸다. 주 연구원이 말했다.
“가창오리가 중간에 들르지 않고 내려간 게 이상해요. 보통 천수만의 낙곡을 다 먹고 호수가 얼고서야 남쪽으로 내려가거든요. 이번에 그렇게 추웠던 것도 아니고… 가창오리 수도 부쩍 줄어들었어요.”
가창오리 개체수는 어떻게 파악할까? 그냥 눈으로 센다. 그래서 조사원에 따라 몇만마리 차이가 나기도 한다. 전국 도래지의 실시간 상황을 알 길도 없어서 가창오리가 어디 있는지도 알 수가 없다.
시베리아 60만마리 멸종위기종 모두 한반도에서 겨울나기
서해서 남해로 이동 공식 깨고
올핸 남해안 영암으로 직행 서산·군산의 최대 월동지 텅텅
전국 개체수도 3년새 절반으로
농경지 낙곡 줄어 먹이 부족
4대강사업 은신처 감소 탓 추정 그럼에도 가창오리는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가 매년 1월 시행하는 전국철새 동시센서스에서 가창오리는 2010년 64만마리, 2011년 44만마리, 2012년 32만마리였다. 천수만과 금강 등 일부 지역에는 도래하지 않고 절대적 개체수도 줄어들고 있다는 말이다.
|
▶ 가창오리는 서·남해안의 간척호수에 터전을 일구는 대표적인 겨울철새입니다. 경이로운 군무를 펼쳐 천수만과 금강의 대표적인 관광상품으로 떠오른 가창오리에게 ‘이상’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지난겨울엔 천수만에 보이지 않던 가창오리가 뒤늦게 나타나더니 뱅뱅 돌다가 어디론가 사라졌다고 합니다. 올해에도 이런 이상 조짐이 보입니다. 천수만과 금강의 탐조가들은 한바탕 소동을 치렀습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