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 해안에 서식하는 꽃게과의 게. 최근 이 게를 이용한 실험에서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진 한스 힐레바르트,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
꽃게야 미안해 너도 아팠구나
[토요판] 생명|조홍섭의 자연보따리
동물도 고통을 느끼느냐는 질문은 논쟁 많고 어려운 주제이다. 무엇보다 ‘아프다’는 건 주관적인 느낌이어서 동물이 그렇게 느끼는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원래 고통은 신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종의 경보 체계에서 출발했다. 뜨거운 냄비에 손을 댄 인간이나 손에 잡힌 지렁이 모두 손상을 피하려 반사행동을 한다.
우리가 말하는 고통은 이런 즉각적인 반사행동에 더해 뇌가 관여된 괴로움을 가리킨다. 아픈 감각을 뇌가 처리해 다음엔 그런 아픔을 겪지 않도록 행동을 바꾸어야 ‘고통을 느낀다’고 보는 것이다.
▷ 물바람숲 더 많은 사진 보러가기
척추동물은 모두 뇌에 통각을 처리하는 부위가 있다. 사람이나 유인원은 사고 영역인 신피질에서 심리적 고통까지 느낀다. 배우자를 잃는 등 통각을 자극하지 않는 고통도 느끼는 것이다. 최근엔 개나 고양이, 새도 심리적 고통을 느낀다는 보고가 있다.
대뇌피질이 고통을 인식하는 핵심 부위라고 한다면 그것이 발달한 순서대로 고통을 잘 느낄 것이다. 유인원,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순서가 그것이다.
이 순서의 끄트머리에 있는 어류도 포유류처럼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예컨대, 낚싯바늘에 찔리는 등의 자극을 받은 물고기는 호흡률이 증가하고 외부 자극에 무뎌지는 등의 생리적 반응을 보이는데, 모르핀을 투여하면 그런 증상이 사라진다.
문제는 고통의 하한이 어류에서 그치지 않는다는 데 있다. 문어와 낙지는 척추동물이 아닌데도 놀라운 지적 능력을 보이고, 심지어 사람을 알아보기까지 한다. 게다가 게와 새우 등도 고통을 느낀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영국 과학자들은 해변 암초밭에서 흔히 보는 게로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불을 환하게 밝힌 수조 양끝에 숨을 곳을 만들어놓고 게 90마리를 풀어놓았다. 천적을 피해 게는 피난처로 모두 숨어들었다. 자기 취향대로 비슷한 수의 게가 양쪽으로 나뉘었다.
그런데 한쪽 피난처에는 약한 전기를 흘려 게가 고통을 느끼도록 했다. 이 게들을 모아 다시 풀어놓고 어떤 피난처로 가는지 보았더니 대부분 처음 골랐던 곳으로 향했다. 절반쯤은 어김없이 전기충격 세례를 받았다. 그러나 세번째로 풀어놓은 게들은 전기가 흐르는 피난처를 거들떠보지도 않았다.
|
물고기도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유럽 등에서 물고기는 동물복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사진=페타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