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6일 경기도 과천 서울동물원 인공포육장에서 지난해 1월17일 태어난 새끼 오랑우탄이 자신을 촬영하는 기자를 구경하고 있다. ‘잡종’인 오랑우탄 어미인 보미가 폐사한 뒤 사육사들이 기르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
[토요판] 생명
서울동물원, 실패한 혈통관리
▶ 아시아에서만 사는 유인원, 오랑우탄은 ‘보르네오오랑우탄’과 ‘수마트라오랑우탄’ 두 종으로 나뉩니다. 수마트라오랑우탄이 털색이 더 밝고 털이 길고요. 얼굴이 가늘어 날씬한 느낌입니다. 보르네오오랑우탄의 털색은 진하고요. 현대보전생물학은 야생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해 아종마다 따로 보존·관리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종 보전기관인 서울동물원에서 잡종인 새끼가 태어났습니다. 서울동물원에서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지난달 6일 경기도 과천 서울동물원 인공포육장에는 수컷 새끼인 오랑우탄 한 마리가 놀고 있었다. 지난해 1월17일 서울동물원에서 출생한 오랑우탄의 이름은 아직 붙이지 않았다. 사육사를 어미로 아는 오랑우탄은 오가는 사람들을 빤히 바라보다 천장에 매달린 그네를 타며 장난을 쳤다. 까만 눈동자로 가득 찬 오랑우탄의 영롱한 눈빛은 깊고 투명했다.
처음부터 어미가 새끼를 돌보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지난해 7월 서울동물원은 새끼의 어미인 오랑우탄 ‘보미’가 훈련 끝에 직접 새끼 돌보기에 성공한 것을 자축하며 이 둘을 이달의 동물로 삼아 홍보했다. 그러나 결국 보미는 새끼를 품지 못하고 떠났다. 동물원에서 태어난 많은 동물이 그렇듯 보미는 자기 새끼를 돌보는 것을 낯설어했다. 새끼에게 물릴 젖도 돌지 않았다. 이달의 동물로 소개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보미는 심장질환으로 폐사했다. 보미와 새끼는 순종 오랑우탄이 아닌 ‘보르네오오랑우탄’과 ‘수마트라오랑우탄’의 잡종이었다. 국내 대표적인 종 보전 기관인 서울대공원에서 태어난 잡종 오랑우탄 소식은 드러내서는 안 될 일이었다. 보미와 새끼에겐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 서울동물원 오랑우탄 중 순종인
보석과 보라 사이 새끼 얻으려
임신계획 세웠는데 엉뚱하게도
잡종 오랑우탄인 보미가 임신
새끼 낳고 얼마 있다 죽음 맞아
보라는 불임 가능성이 높아서
보석의 새로운 짝 찾아줄 계획
쥬쥬동물원 오랑이가 유력 후보
외국 동물원서 짝 데려올 수도
2012년 보미는 9살이었다. 동물원은 잡종인 보미보다 다른 순종 오랑우탄의 임신에 관심이 있었다. 보석(수컷·10살 추정)과 보라(암컷·11살 추정)는 동물원에 있는 유일한 보르네오오랑우탄 순종 한 쌍이었다. 2005년과 2004년 각각 세관에서 압수된 개체로 동물원에서 출생하지 않은 유일한 개체이기도 했다. 동물원이 기대하는 최상의 시나리오는, 혈연관계가 아니었던 보라와 보석이 번식을 해 보르네오오랑우탄의 종을 보전하는 것이었다. 오랑우탄은 보통 야생에서는 15살 내외에 성성숙이 이뤄지는데 야생 개체보다 먹이 공급에 어려움이 없는 동물원 개체의 경우 더 이른 나이에도 가능하다. 보통 임신 기간은 8~9개월이다. 하지만 정작 임신한 것은 잡종 보미였다. 호르몬 및 혈통 연구를 하고 있는 서울동물원 동물연구실의 정소영 박사는 말했다. “오랑우탄 암컷의 임신 가능일을 아는 것은 어렵습니다. 22~30일 주기로 배란을 하지만 침팬지처럼 음부가 커지거나 사람처럼 하혈을 하지 않거든요. 보라 대신 보미가 임신을 할 거란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습니다.” 동물원 측은 보미의 임신을 의도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또래 오랑우탄끼리 함께 지낼 수 있도록 보미와 보라, 보석을 합사한 것일 뿐이고, 보미가 가임기였는지도 잘 몰랐다고 해명했다. 동시에 서울동물원은 보라의 몸 상태가 특별하다는 것도 알고 있었다. 정 박사는 에스트라디올(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하나)과 프로게스테론(동물 난소 안에 있는 황체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생식주기에 영향을 주는 여성호르몬) 수치가 그려진 표를 가리키며 설명했다. “보라는 여성호르몬 수치가 낮아서 불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어요. 2006년 4~5살 때는 그나마 임신이 가능한 여성호르몬이 조금씩은 나왔는데 점점 떨어졌어요. 지난해부터는 이 수치가 0에 가까워요.”
|
서울동물원 오랑우탄 실내사육장에서 비닐포대를 뒤집어쓴 보라(암컷).
|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