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진의 어떤 메모
<드레퓌스>, 니콜라스 할라즈 지음
황의방 옮김, 한길사, 1978
출판사(史)에 무지한 탓이겠지만 이런 책이 ‘1978년 남한사회’에서 나왔다니 그 시절이 ‘중세’만은 아니었나 보다. 어릴 적부터 집에 굴러다니던 책인데 이렇게 의미 있는 책인지 몰랐다. 책날개에는 송건호와 김동길의 추천사가 있다. ‘비교’ 가능한 인물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김동길의 글이 조금 더 울림이 있다. “진실만이 역사를 창조·발전시킨다”(송건호), “졸라 같은 양심적인 역할에서 우리 자신에 대한 절박한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김동길). 이 의견들은 드레퓌스 사건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인식일 것이다. “진실과 허위 그 대결의 역사”라는 한국어 부제도 비슷한 맥락이다.
저자 니콜라스 할라즈는 1895년 헝가리 태생으로 유럽 여러 나라에서 공부하다 미국으로 이주한 언론인이다. 1957년에 출간된 이 책은 드레퓌스 사건의 전말과 그의 생애를 상세히 다루고 있다. 원제(Captain Dreyfus The Story of a Mass Hysteria)는 집단 히스테리라고 분석한다.
드레퓌스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조작 간첩 사건의 주인공일 것이다. 그것은 이 사건의 승리가 프랑스 혁명의 이념인 정의, 진실, 인권 존중이라는 근대 계몽주의의 미덕을 증명하였고, 인류는 여전히 이 가치를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 사건에는 간첩과 조작의 모든 요소가 등장한다. 자국이 파견한 간첩을 의심하는 국가, 범인이 유태인이어서가 아니라 유태인이어서 범인이 되는 현실, 그를 반역자로 몰기 위한 대화에서 “120㎜ 포의 수압식 제동기라는 단어가 등장하자 드레퓌스가 갑자기 손을 멈춘 것은 뭔가 켕기는 것이 있다”는 식의 유죄 추정, 사건의 또 다른 주인공 에밀 졸라로 대표되는 지식인의 사명(그가 쓴 “나는 고발한다!”가 실린 신문은 하루에 30만부가 팔렸다), 드레퓌스의 억울함에 재심을 요구하는 세력과 재심반대파의 10년에 걸친 갈등과 투쟁….
한편 나는 이 사건이 역사의 모범으로서 지나치게 상기되는 것이 다소 불편하다. 드레퓌스의 12년, 아니 평생에 걸친 고통과 양심세력의 투쟁 덕분에 ‘공화국 프랑스’는 한국 같은 ‘제3세계’가 본받아야 할 민주주의의 모델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그들의 자부심이 대외정책에도 적용될 수 있을까. 알제리를 보라. 그들의 정의는 국내용이지 다른 인종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내가 읽은 <드레퓌스>의 교훈은 진실의 승리라기보다는, 간첩이 만들어지는 조건과 방식에 대한 고찰이다. 간첩은 국가 단위의 적을 전제한다. 당시 프랑스는 1870년 프로이센과의 전쟁에서 패한 뒤 독일에 알자스로렌 지방을 빼앗긴 직후였다. 복수와 국가안보 이데올로기가 극에 달한 시기에 간첩 만들기는 너무 쉽다.
“사람은 누구나 두 나라를 갖고 있다. 자기의 모국과 프랑스다.”(148쪽) 이 문구는 “프랑스가 이 나라 자체의 원칙(인권)에 의해 붕괴될지 모른다는 공포에 휩싸인” 사회주의자들과 르낭 같은 유명 사상가를 포함한 은폐 세력에 맞서, 재심요구파의 선두에 섰던 조르주 클레망소가 쓴 감동적인 글의 일부다.
국가는 영토만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마음을 한데 묶을 수 있는 정신으로도 구성된다는 의미에서, 클레망소는 후자의 문제, 즉 어떤 가치를 가진 프랑스가 진정한 프랑스냐고 호소했다. 누구나 두 나라를 갖고 있다. 국가는 실체가 아니라 이질적인 이념들이 경합하는 제도다. 국론통일은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지만, 페어플레이는 중요하다.
|
정희진 여성학 강사
|
[관련영상] [#9. 최성진·허재현의 토요팟] 여간첩 원정화 사건, 공소장이 수상하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