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 창간 24돌 특집]
탈출! 피로사회
야근·휴일근무가 일상이다. 퇴근 뒤에도 업무로 술을 마신다. 주말에 쉬어도 불안하다. 한국 사회에서 일중독에 걸리지 않기란 쉽지 않다. 주변으로부터 ‘일중독자’라는 소리를 듣는 평범한 30대 직장인의 고백을 통해, 우리 사회가 왜 피로에서 탈출하기 쉽지 않은지를 살폈다.
물론 1000만원 덜 받으며적당히 일하고
안 잘리는 회사 있다면
그리로 가겠죠 근데 그런 게 없다니까요
난 워커홀릭 아니에요
지금 시장이 요구하는 만큼
일하는 것뿐이라고요 다만 평생 살 동반자가
이런 라이프스타일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그래서 결혼 못하는 건가 전화를 못 받아 미안해요. 긴급회의가 있어 주말 내내 전국 지사 몇 곳을 돌았어요. 폰 배터리가 1% 남아 업무 외 전화를 받을 수 없었어요. 무슨 출장이냐고요? 지난 3월부터 미국과 체결한 에프티에이가 발효됐잖아요. 그 후속 조처로 다음달부터는 한국으로 들어오는 화물에 대해 미국이 증빙서류를 발급해주는 규정이 생겨요. 얼마 전 회사에서 그걸 확인하는 시스템을 갖췄는데, 각 지사가 잘 운영하는지 알아보러 간 거죠. 전 외국계 무역회사에서 수출 관리 업무를 맡고 있는 김동현(가명·35)이라고 합니다. 직급은 팀장이고요. 올해 초 팀장으로 승진하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는지 모를 겁니다. 중소기업에 다니다 3년 전 남들보다 늦은 32살에 이 회사에 입사했어요. 남들 따라잡으려고 미친 듯이 일했죠. 아침 9시 출근인데, 전 주로 8시까지 도착했어요. 항상 준비가 돼 있으면 실수도 적게 하는 법이거든요. 퇴근은 매일 밤 11시였어요. 그땐 부서가 새로 생겼을 때라, 나 혼자 일을 다 했어요. 사람 한 명을 더 달라는 말은 안 했어요. 저한테 일이 주어지면 일단 다 해내야 직성이 풀리는 성격이에요. 3년 만에 팀장이 됐죠. 늦은 편은 아닌 것 같아요. 팀장 되면 편해질 줄 알았더니 역시 아침 8시까지 출근해야 하더군요. 협력업체들이 모두 업무를 8시에 시작해요. 일찍 나와서 회사가 주문한 일을 업체가 잘 처리하는지 확인해요. 타이로 보내라고 한 물건이 베트남으로 발송되는 일은 없는지 체크하는 거죠. 사원들 업무 지시할 것도 챙기다 보면 시간이 금방 가요. 아, 물론 9시에 출근해도 지장이 있는 건 아니에요. 정시에 오는 팀장도 있죠. 그러나 조금 더 원활하게 일하려면 아무래도 빨리 출근하는 게 좋겠죠.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부서에서 제가 항상 제일 먼저 회사에 도착하는 편입니다. 대신 퇴근은 좀 빨라졌어요. 약속이 있으면 저녁 7시에도 나가요. 주로 거래처 사람들과의 약속인데, 우리 회사가 ‘갑’일 때도 있고 ‘을’일 때도 있죠. 을일 땐 상대방 분위기 맞춰주느라 새벽까지 룸살롱에서 ‘양폭’을 마셔요. 절대 취하면 안 돼요. 인사불성된 사람들 다 택시 태워 보내고 집에 돌아옵니다. 새벽 2시쯤 되는데 잠시 눈 붙이고 5시 반에 또 일어나 출근 준비하죠. 좀 힘들긴 하지만, 먼저 집에 가거나 약한 모습 보이고 싶지 않아요. 주5일 근무제를 하지만, 난 거의 격주로 토요일은 출근해요. 다음주 월요일에 일할 거 미리 준비하면 마음이 편하니까요. 주말 이틀씩 꼬박 챙겨서 쉬면 불안해지더라고요. 외국계 회사에 다니는 사람들의 유형은 두가지예요. 기본적으로 외국계 회사는 복지가 좋잖아요. 인사평가나 승진에 목 안 매고 적당히 일하면서 자기 취미생활 챙기는 유형이 있어요. 또 하나는, 높은 직급까지 올라가려는 성취욕이 강한 사람들. 이 비율이 보통 7:3 정도입니다. 전 3에 속하는 것 같아요.
|
마포구 한 건물앞의 직장인들.
|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