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0.25 19:24 수정 : 2012.10.25 20:53

김완주 전북지사

[99%의 경제]
전북도 국제콘퍼런스…컨설팅
서울시 경제진흥실에 정책팀
인천시 생활경제과에 조합팀

오는 12월1일 협동조합기본법 발효를 앞두고 자치단체들이 협동조합 업무 전담팀을 설립하는 등 협동조합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협동조합이 일자리를 창출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 공동체 발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를 수도 있다는 기대감을 반영한 움직임이다.

전북도는 출연기관인 전북경제통상진흥원의 청년서비스지원팀(063-711-2077)을 통해 협동조합 관련 사업 컨설팅을 해주고 있다. 지난 4일엔 협동조합의 세계적 권위자와 전문가를 초청해 협동조합 국제콘퍼런스를 열었다. 지난 6월과 10월 두 차례 ‘전북협동조합스쿨’을 열어 수료생 187명을 배출했다. 김완주(사진) 전북지사는 지난 3~4월 유럽 협동조합 현장 탐방을 했고, 협동조합 지원 조례 제정을 준비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경제진흥실에 협동조합정책팀(02-2133-5486)을 신설했다. 강지현 협동조합정택팀장은 “노동자협동조합, 공동육아협동조합, 생활경제협동조합, 주택협동조합 등 크게 4개 분야로 나눠 직원 교육과 전문가 포럼을 마쳤다”고 말했다.

인천시도 지난달 경제수도추진본부 생활경제과에 협동조합팀(032-440-4217)을 신설했다. 강원도에선 기업지원과 풀뿌리기업팀(033-249-2753)이 협동조합 관련 업무를 다룬다. 강원도 원주에선 1966년 천주교회 쪽이 신협을 만든 것을 시작으로 2003년 협동사회경제네트워크가 구축돼 19개 단체, 3만5000여명의 조합원이 활동하고 있다.

협동조합은 자치단체가 주도하는 것보다 시민들이 협동조합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 컨설팅을 맡아 간접적인 지원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협동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펀드를 조성하거나 변호사·세무사들이 협동조합을 컨설팅하는 협동조합을 만드는 것도 좋은 방안으로 꼽힌다.

광주 전주/정대하 박임근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99%의 경제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