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2 대선 만인보]
국토종단 민심기행
강원대생 79학번-00학번 취업 비교
79학번, 현대그룹 등 취업 수월외환위기 이후 수도권집중 심화
00학번, 지역농협·하급공무원으로 1980년대 중후반까지만 해도 강원대생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구하는 건 어렵지 않았다. 1986년 한국통신에 4급 간부사원으로 입사했던 79학번 박헌용 케이티(KT)문화재단 이사장은 “당시 졸업생 100명 가운데 16명이 한국통신에 입사했고, 20여명은 현대그룹에 갔다”고 기억했다. 박 이사장은 “서울에 있는 명문대만큼은 아니었지만 기회만 공평하게 주어지면 어디든 합격할 수 있다는 분위기가 강원대생들 사이에 있었다”고 말했다. 강원도 출신인 고 정주영 회장이 이끌었던 현대그룹은 강원대 졸업생이 취업하기가 수월했다. 강원대 경영학과 동문인 박상규 경영대학장은 “당시 현대그룹에서는 지방 국립대 출신을 모두 합치면 연세대·고려대 출신만큼 많았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20년 동안 강원대 졸업생의 취업 사정은 급변했다. 강원대 자체 통계를 보면, 1994년 73.9%에 이르렀던 취업률은 1997년 77.9%로 정점을 찍은 뒤 1998년 49.0%로 급락했다. 이후 50~60%대를 오르내렸지만, 90년대 초반의 취업률을 회복하진 못했다. 이 시기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지역 경제 기반이 붕괴하고 수도권 집중 현상이 오히려 강화됐던 때와 일치한다. 올해 취업률은 48.0%까지 떨어졌다. 각종 비정규직 등도 취업 통계에 포함되므로 강원대 졸업생의 취업 형태는 더 악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겨레>가 강원대 재경 동문회에 요청해 경영학과 1979년 입학자 5명의 취업 형태를 파악해보니 이들은 한국통신 등 공기업이나 현대그룹 등 서울에 있는 대기업에 취업했다. 그러나 2000년에 입학한 경영학과 후배들의 사정은 조금 달랐다. 경영학과에 문의해 임의로 5명의 취업 현황을 문의한 결과, 이들은 지역 농협 2명, 9급 공무원 1명, 서울에 있는 대기업의 강원도 지사에 2명이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참조)
|
지난달 21일 오후 강원도 춘천 강원대 중앙도서관 앞 계단을 학생들이 올라가고 있다. 이들의 손에는 이날 학교 밖에서 열린 한 취업박람회에서 받은 자료가 든 종이가방이 들려 있다. 춘천/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
강원대생 53% “MB정부 등록금 대책 잘못” 최대화두는 ‘국가장학금’ “등록금은 학습권보장의 문제”
정확한 선정기준 안밝혀 논란
“왜 못받는지 몰라 열받고
받아도 액수 적어 실망해” 등록금은 대학생들의 생존권이 달린 문제다. 상당수 강원대생들은 ‘반값등록금’을 가계 부담 완화가 아닌 학습권 보장의 문제로 봤다. 졸업생 이종진(가명·26)씨는 “부모님은 어차피 등록금이나 용돈을 주실 형편이 안 된다”며 “대학을 상아탑이라고 하는데, 우리가 정말 공부하길 원한다면 등록금 자체를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강원대생들의 최대 화두는 ‘국가장학금’이다. 이명박 정부는 올해 초부터 등록금 대책의 하나로 국가장학금 제도를 도입했다. 부모의 소득이 하위 70%에 속하고 학점이 B학점 이상이면 장학금 신청 자격이 부여된다. 국가장학금 제도에 따른 등록금 감면액은 평균 25% 정도다. 올해 2학기의 경우, 전체 대학생 136만명 가운데 40% 정도가 국가장학금을 받았다. 그러나 <한겨레>가 강원대 재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2.5%(53명)는 이명박 정부의 등록금 대책에 대해 ‘잘못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환경미화원인 아버지가 공무원이라는 이유로 국가장학금을 받지 못한 이지수(가명·25)씨는 “못 받은 사람은 왜 못 받았는지 몰라서 열받고, 받은 사람은 액수가 적어서 실망한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
▷ 정규직 일자리 사라져간 20년, 지방 국립대생들에 무슨 일이… [관련 영상] <한귀영의 1234 1회> 안철수 VS 문재인 현재 스코어 16:8?

광고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