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9.24 20:31 수정 : 2012.09.24 20:31

독일 튀빙겐역 옆 자전거 주륜장에 지난 8일 오후 주민들이 세워둔 자전거가 가득 차 있다.

독일 튀빙겐·프랑스 파리 등
공공자전거 정책 뿌리 내려

독일 튀빙겐에서 유학중인 송진영(29)씨는 자전거 마니아다. 어디를 가나 자전거를 타고 다닌다. 지난 7일 튀빙겐 곳곳에서는 자전거 이용객이 넘쳐났고, 역 주변 자전거 주륜장은 주차장보다 훨씬 컸다. 송씨는 “유럽에서 자전거는 상식”이라고 말했다.

2030년 세계 환경수도를 꿈꾸는 친환경도시 스웨덴 말뫼는 ‘시민 한 명에 자전거 한 대’를 내세우고 있다. 인구 28만명 모두 자전거를 이용하고 물·바람·태양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도시 전체를 100% 친환경 에너지 이용 지역으로 꾸밀 참이다.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도 곳곳에 공공자전거 1000여대를 두고 이용하게 하고 있다.

자전거 일주 대회인 ‘투르 드 프랑스’로 알려진 프랑스의 파리는 공공자전거의 성공 모델이다. 2007년 7월 도입한 ‘벨리브’는 전세계 공공자전거 정책의 교과서로 꼽힌다. 시민 누구나 29유로(4만여원)를 내면 파리 전역 1700곳에 놔둔 자전거 2만3000여대를 필요할 때마다 쓸 수 있다. 밸리브 도입 5년여 동안 자전거 이용자는 55% 늘었고, 자동차 교통량은 25% 줄었다는 통계도 있다.

국내에서도 ‘자전거 특별시’를 내세우며 공공자전거 ‘누비자’를 도입한 경남 창원시를 비롯해 대전시(‘타슈’), 고양시(‘피프틴’) 등도 자전거에 주목하고 있다.

하승우 창원시 생태교통과 자전거담당은 “유럽은 39개국 65개 자전거단체가 자전거연합체(ECF)를 꾸려 자전거 활성화와 정책을 입안하는 등 자전거 정책을 선도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차량과 자전거가 도로를 나눠 쓴다는 인식과 자전거도로 같은 인프라를 확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튀빙겐(독일)/글·사진 오윤주 기자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제3회 아시아미래포럼-도시 혁신, 사회를 바꾼다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