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9.04 20:36 수정 : 2012.09.19 08:53

지난 2010년 1월25일 광복회가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건립을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광복회는 “건국시점을 1948년으로 설정하는 등 대한민국역사박물관이 그릇된 역사인식으로 지어지고 있다”며 건립계획 백지화를 주장한 바 있다.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역사정책 미래를 열자]
12월 개관 앞둔 역사박물관

7층 건물 4개 상설전시관에
대한민국 태동~선진화 구성
성공신화에 중점 두고 짜여
학계 “한쪽의 역사인식 편향”

지난 3일 찾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역사박물관)은 서울 중심부인 광화문 미국대사관 옆에 자리잡고 있다. 6445㎡ 대지 위에 들어선 7층짜리 건물에는 4개 상설전시관을 포함해 특별전시장, 강의·교육 공간 등이 있고, 여기저기 인테리어 공사가 한창이다.

역사박물관은 그동안 ‘건립위원회’ 형태로 꾸려져오다 지난 1일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가기관으로 정식 출범해 12월 개관을 앞두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국가박물관인데다 국내 최초의 현대사박물관이라는 의미까지 있지만, 여러 논란과 우려를 낳고 있다.

내용상 박물관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상설전시 구성이 ‘대한민국의 태동-기초 확립-성장과 발전-선진화 및 세계로의 도약’ 등 국가 자체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는 ‘국가 성공 사관’을 뼈대로 삼은 점이 주된 비판의 대상이 됐다. 실제로 역사박물관은 뉴라이트 계열의 ‘건국절’ 주장을 따랐다가 광복회 등의 격렬한 항의를 받고 전시 내용을 수정한 바 있다. 친일, 국가폭력 등의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기도 했다.

이런 비판들에 대해 전시 콘텐츠 구성을 맡은 김시덕 전시운영과장은 “외부 비판처럼 어느 한쪽의 역사 인식에 치우치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역사학계의 논쟁이 있는 주제를 어떤 방향으로 결론지으려는 게 아니라 많은 사람이 공감할 수 있는 전시를 할 뿐”이라고 했다. 역사적 이슈에 대한 평가나 해석은 배제하고, 일종의 ‘아카이브’로서 최대한 다양한 자료를 보여주려 한다는 얘기다. 친일, 국가폭력, 노동운동 등의 주제들도 상설전시에서 함께 다룰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5·18 광주민주화운동, 전태일, 스포츠사, 기업발전사 등 심층적 관심이 필요한 주제들을 따로 다룰 것”이라며 “상설전시에 들어가지 않는 내용은 특별전시로 소화할 계획”이라고도 밝혔다.

그러나 역사박물관에 대해 비판해온 홍석률 성신여대 교수는 “뉴라이트 계열 ‘대안교과서’에서도 인혁당 사건을 다뤘지만 그 의미를 제대로 밝히지 않았다”며 “어떤 논지에 따라 설명하느냐가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예컨대 역사박물관 쪽의 상설전시 소개를 보면, 장면 정부에 대해 “경제 발전을 추진하였지만 정치적 혼란을 극복하지 못하고 결국 5·16군사정변으로 군사정부에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는 서술이 나온다. 이런 식의 서술로는 헌정질서를 유린한 5·16군사정변을 제대로 설명해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홍 교수는 “무엇보다 의견 수렴이 사라진 ‘졸속 추진’이 총체적인 문제점”이라고 짚었다. 대통령의 의지만으로 건립위원회가 일방적으로 꾸려졌고, 임기 내 개관을 목표로 삼은 추진 과정에서는 변변한 공청회 한 번 열린 바 없었다. 역사학계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도 없었다.

이에 대해 김 과장은 “공개입찰을 통한 프로젝트 발주로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고 있다”며 “역사학계에 협력과 조언을 요청했지만 별다른 도움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전시의 기본적인 내용은 2009년 건립위원회에서 이미 짜놓았으며, 외부에 프로젝트를 맡기는 것은 전시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부대사업을 위한 것으로 2010년 말부터 시작했다고 했다.

최원형 기자 circle@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기획연재|역사정책 미래를 열자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