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 쿠리치바시 외곽지역 피녜이리뉴에서 ‘쓰레기 아닌 쓰레기’라는 문구가 쓰인 차량 직원들이 주민들한테서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를 거둬들이고 그 무게에 따라 채소를 주고 있다.
|
[한겨레 창간25돌] 도시의 미래를 보다
브라질 쿠리치바의 분리수거 정책
보름에 한번씩 동네에 트럭 돌아
식품과 교환하려는 주민들 ‘긴 줄’
브라질 쿠리치바시 도심에서 남서쪽으로 10㎞쯤 떨어진 빈민촌 피녜이리뉴의 한 지역에서 4월23일 오전 10시께 주민들의 발길이 분주했다. ‘쓰레기 아닌 쓰레기’라고 쓰인 녹색 화물차 쪽으로 들것이나 자전거를 몰고 가고 또 되돌아오고 있었다. 갈 때는 유리병, 종이, 플라스틱, 깡통, 폐식용유 등이 쌓여 있더니, 돌아올 때는 채소나 과일이 실려 있었다.
생태도시를 꿈꾸는 쿠리치바시가 1992년 시작한 ‘쓰레기 아닌 쓰레기’ 정책의 이색적인 현장 풍경이다.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식품과 교환해주는 제도를 22년째 이어오고 있다. 이 정책은 유엔환경계획(UNEP)도 인정해 ‘우수 환경과 재생상’을 준 바 있다.
재활용 쓰레기를 수거하는 트럭, 식품을 제공하는 트럭이 보름에 한 차례씩 돌아다닌다. 하루 8~10곳을 돌며 쓰레기를 거두고, 또 채소·과일 같은 식품을 건넨다.
이날 피녜이리뉴에선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 쓰레기를 수거했다. 주민들에게 식품교환권을 나눠주던 분리수거 책임자 다비는 “재활용 쓰레기 4㎏이나 폐식용유 2ℓ를 갖고 오면 채소나 과일을 1㎏가량 바꿀 수 있는 교환권을 준다. 한번 동네에 들르면 주민이 평균 40여명 온다”고 말했다.
주민 마리아(78·여)는 “예전에는 쓰레기들이 여기저기 널려 동네가 더러웠지만 이제는 많이 깨끗해졌다. 시민들이 쓰레기 분리 방법도 배우고 쓰레기를 채소나 과일 등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생활에도 보탬이 된다. 서민들에게는 확실히 좋은 정책”이라며 웃었다. 마리아가 이날 가져온 쓰레기 양은 116㎏에 이른다. 집에서 나온 쓰레기만이 아니라 주변의 쓰레기까지 모아 왔다.
|
프루이치 쿠리치바 시장 “유럽·아시아서도 우리시 교통정책 벤치마킹”
|
프루이치 쿠리치바 시장
|
버스노선 개선 등으로 풀어갈것
쓰레기도 60% 더 줄이는 게 목표 “1970년대부터 추진해온 쿠리치바시의 교통정책은 콜롬비아의 보고타, 칠레의 산티아고, 그리고 남아메리카와 유럽, 아시아의 여러 도시가 벤치마킹할 정도로 선도적인 구실을 해 왔습니다.” 4월22일 오전 쿠리치바시청 시장실에서 만난 구스타부 프루이치(51·사진) 시장은 생태도시를 추진하는 쿠리치바의 노력을 전달하는 데 열성적이었다. 쿠리치바의 대중교통을 두고 그는 “효과적인 운송수단으로 각광을 받아 많은 시민들이 이용한다. 버스 전용 도로를 운행하는 2단 굴절버스도 대체로 잘 운영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 1월 임기 4년의 시장에 취임한 그는 대중교통의 개선과 쓰레기 처리 정책을 주요 과제로 내걸었다. 도로 개선 문제가 당면한 과제라는 프루이치 시장은 신호등의 연동제를 통한 버스의 원활한 통행, 자가용 이용률을 줄이기 위한 외곽지역의 버스노선 개선, 공항에서 시내 도심지를 연결하는 공항노선의 개설 등을 검토중이라고 했다. 간선교통축인 리냐 베르지(녹색선) 주변을 활성화할 ‘리냐 베르지 프로젝트’를 통해 도로 양옆에 상가나 거주지가 형성되도록 투자를 유치하는 계획도 세워뒀다.
|
브라질 쿠리치바시내 보행자 거리로 알려진 ‘꽃의 거리’에서는 조깅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고, 악기를 연주하거나 환담하는 시민들의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
기사공유하기